창원·광주·부산·대전·춘천에 수소차 5만대분 연료 생산 시설 들어선다

입력 2020-05-19 11:13수정 2020-05-19 14: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남 창원시에서 운행 중인 수소버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연간 수소 승용차 약 5만 대분의 수소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소추출시설이 광주광역시, 경남 창원시,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 춘천시에 들어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 지원 대상을 최종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 춘천시 등 3개 지역,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광주광역시, 경남 창원시 등 2개 지역을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일환으로 수소경제 초기 정부 선제 투자를 통한 수소차‧버스 등 수소 교통망 조성을 위해 수소추출시설의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수소추출시설은 액화천연가스 등에서 수소를 추출·생산하는 설비를 포함한 공급시설로 수소 버스는 다량의 수소를 쓰기 때문에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한 수소를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하루 약 1톤 이상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수소버스 40대 분량이다.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근 수소버스 운행 노선 및 버스충전소 연계 여부, 수소 공급가격 및 운영 계획, 주민 수용성 및 안전성 확보 방안 등의 요소를 종합 고려해 선정됐다.

정부는 하반기 추가로 2개소를 더 선정, 올해 총 25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해 소규모 수소추출시설 개소당 5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수소버스 150대 또는 수소 승용차 1만 대 분량에 달하는 하루 약 4톤 이상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2020~21년 개소당 총사업의 40% 수준인 80억 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한국가스공사의 공모를 통해 △수소차‧충전소 보급 계획 △주민 수용성 확보 및 지자체 지원 △지역 수소산업 육성 효과 등을 고려해 선정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을 통해 연간 약 7400톤의 수소 공급 여력을 추가로 확보했다”며 “국내 수소 공급의 경제성‧안정성이 대폭 증가하여 보다 속도감 있는 수소 모빌리티 확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부는 수소차‧버스의 확산 및 수소충전소 구축 등에 맞춰 수소추출시설을 지속해서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의 수소승용차 누적 보급 목표는 올해 1만5158대에서 2022년 6만5000대, 2040년 275만 대다. 수소충전소 역시 올해 154개소에서 2022년 310개소, 2040년 1200개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