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계, 코로나19 이후 전망 “긍정적>부정적”

입력 2020-05-12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곳 중 4곳 “코로나19 뒤 스타트업 생태계 긍정적으로 전개”

(자료제공=중기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스타트업 생태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답한 스타트업의 비율이 부정적일 것이라는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12일 ‘코로나19 이후 스타트업 환경변화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에 따른 스타트업 생태계 변화와 유망 분야에 관해 현장에 있는 스타트업들이 어떻게 체감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정부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한 스타트업이며 총 492개사가 응답에 참여했다. 조사 기간은 지난달 10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한 이메일 배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뒤 스타트업 생태계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응답이 42.5%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응답(32.3%)보다 높은 수치다.

구체적으로 스타트업 생태계 변화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복수응답)는 ‘환경변화로 인한 신규사업·아이템 발굴’(64.6%), ‘비대면 연계 서비스(홈코노미, 온라인 교육 등) 산업 확대’(40.0%), ‘신규 산업 분야의 정부 지원 확대’(39.2%) 순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 생태계 변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복수응답)는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매출 감소’(73.0%), ‘특정 분야의 투자집중으로 인한 투자 감소’(40.0%) 순으로 나타나 스타트업들도 코로나19에 따른 매출 및 투자 감소를 위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스타트업들이 선택한 코로나19 이후 유망 산업분야는 1순위가 진단키트, 마스크, 원격의료 등 의료 분야였다. 2순위는 온라인 교육, 돌봄 서비스 등 교육 분야, 3순위는 온라인 신선식품·쇼핑, 구독경제, 무인점포 등 소비 분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의 정부에 대한 건의 사항은 유망 산업 분야인 비대면, 바이오 등에 대한 특화지원 등 정부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60.9%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존 정부 지원 사업(R&D, 멘토링, 규제 완화 등)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36.1%)과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활용 확산(3.0%) 등도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