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산업 변화는?…정부, 포스트 코로나 8대 대응 과제 제시

입력 2020-05-06 08: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GVC재편 대응·비대면산업 육성·주력산업 사업재편 등 추진

▲'포스트 코로나' 대비 8대 대응 과제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비대면 활동 증가, 저비용 효율중심주의 기업경영 퇴조 등 산업 측면에서의 큰 변화가 나타나는 가운데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해 8대 대응 과제를 제시하고 추진 계획을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위기 대응반' 1차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산업전략을 논의했다.

최근 글로벌 경제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등 코로나19의 충격에 빠졌다. 한국 수출 역시 4월 24% 감소를 기록하고 자동차·철강·정유 등 일부 주력 업종은 매출과 생산이 크게 위축됐다.

전 세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단기적 충격을 넘어 정치·경제 전반과 세대에 걸친 격변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코로나19 이후 변화상을 △보건·환경 △경제활동 △기업경영 △사회가치 △교역환경 등 5가지로 제시했다.

우선 보건·환경 측면에서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본격화된다. 감염병이 상시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각국은 방역시스템을 보강하고 백신과 치료제 개발 경쟁에 나설 전망이다.

특히 신흥국의 방역 취약성과 불투명성이 글로벌 공급망을 불안정하게 만든 경험은 이들 국가의 저임금 매력을 상쇄해 공급망이 현지 중심으로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활동의 효용성이 확인되면서 경제·산업·교육 등 전반에서는 비대면 활동이 매우 증가할 수 있다.

기업은 또 다른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에 대비해 비상계획 수립을 일상화하고 여유 재고·인력 유지 비용을 감수함에 따라 저비용 효율 중심주의 기업경영은 퇴조할 가능성이 크다.

경제의 지역 블록화로 국가 간 무역장벽이 부활할 수 있고 시장안정을 위한 정부 역할이 확대되며 신자유주의의 퇴조는 가속할 것으로 예측됐다.

개인과 효율보다는 상호 의존하는 사회 속에서 연대·공정·책임(responsibility) 등의 가치가 부각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변화를 토대로 정부는 8가지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보건·환경 분야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투명하고 안전한 첨단제품 생산기지를 구축한다. 감염병 발생 시에도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작업방식을 확산해 산업 현장의 복원력을 극대화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K-방역, K-바이오는 새로운 한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상품화한다.

경제활동 분야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5G), 디지털 인프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 유통·교육 등 비대면 산업을 기회의 산업으로 선점한다. 저유가 상황은 에너지 소비 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수소경제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을 통해 산업구조 혁신과 에너지 전환의 기회로 활용한다.

기업경영은 계획된 투자 프로젝트가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현장의 투자 애로를 직접 점검하고 주력산업의 과감한 사업재편을 촉진한다. 자동차·철강 등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큰 주력 산업은 사업을 재편하는 동시에 신산업 분야로의 진출을 활성화한다.

새로이 부각하는 사회가치에 발맞춰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간 협력, 다른 업종 간 얼라이언스(동맹) 등을 통해 업종·기업 간 한국형 산업 연대와 상생협력 모범사례를 창출한다.

교역환경에서는 방역 모범국이자 제조강국의 위상을 활용해 보호무역 타파와 자유로운 인적·물적 교류를 주창하며 글로벌 논의를 주도할 방침이다. 특히 기업 필수인력 예외 입국 표준모델 선도, 무역·투자에 관한 추가적 장벽 설정 중단 등을 양자·다자협의체를 통해 제안한다.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한 각 분야의 정책과 전략을 시리즈로 준비 중이며 상반기 중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비대면 산업 육성, K-방역·K-바이오의 글로벌 진출, 산업·통상 글로벌 리더십 발휘를 위한 정책 등을 준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하반기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 질서의 변화에 대한 종합적 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가칭)'을 내놓을 계획이다.

성 장관은 "코로나 이전(BC)과 이후(AC)가 극명하게 다를 것이라는 전망처럼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정책 패키지를 잘 준비해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방역 선도국으로서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한 저력을 경제 재도약의 에너지로 승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