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사유 방식에 대해 꾸준히 천착해온 저자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차이점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꼽는다. 이러한 생각은 소설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미래의 인공지능은 전 인류의 지혜를 뛰어넘는 지식의 집합체이자 만능의 존재로 발전하지만, 감정과 자유의지가 없기 때문에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지 못한다. 반면 인간은 불완전하고 결함이 가득해도 스스로의 의지로 미래를 선택할 수 있다. 때로는 불필요하다 여겨지는 인간의 원시적인 감정이야말로 인공지능과 인간을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되는 것이다.
'당신은 어디에 있지'에 등장하는 AI 비서 '분신'은 사용자의 인성(人性)을 완벽하게 데이터화한 스마트 인공지능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가장 좋은 점만을 취했다는 장점은 오히려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는 약점이 된다. 매사에 친절하고 긍정적인 답변만을 내놓는 '분신'은 상대가 진정으로 원하는 내밀한 감정의 교류를 전혀 파악하지 못한다. 이러한 차이는 '사랑의 문제'에 등장하는 AI 도우미 '천다'에게서도 발견된다. 아버지의 무관심으로 우울증에 걸린 차오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인간적인 감정의 교류였지만, 천다는 코르티솔과 노르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 수치를 언급하며 차오무에게 약을 권한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은 영영 인간의 감정을 배울 수 없는 것일까? 저자는 이러한 질문에 두 가지 가능성을 상상한다. 인공지능에게 인간의 목표 의식과 자유의지를 배우게 하거나, 오히려 인류가 슈퍼 인공지능에게 모든 것을 일임해 선택의 권한을 의탁하는 삶을 사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재의 우리가 내리는 선택이 미래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인공지능이 인류를 파멸시키거나 인간을 지배하는 디스토피아까지는 아니더라도, 인간이 가지는 가장 소중한 가치를 잊은 채 파편화된 삶을 사는 미래는 충분히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 미래를 경험하지 않기 위해, 우리는 하오징팡이 미리 다녀온 '피안의 세계'에서 현재의 우리의 모습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