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삼성전자 ‘시총 30% 상한제’ 적용 안 한다

입력 2020-04-02 15:41수정 2020-04-02 16: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티이미지뱅크)
한국거래소가 코스피200 지수 내 삼성전자 시가총액 비중과 관련 ‘30% 상한제(CAP)’를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2일 한국거래소는 코스피200 지수 및 KRX300 지수 산출과 관련, 시총 비중 상한제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에 나선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자체 개선안에서 상한제를 적용하지 않는 국내용 지수와 상한제를 적용한 해외용 지수를 병행 산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실상 삼성전자에 대해 30% 상한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은 셈이다.

개선안에 따르면 국내 자본시장의 펀드 운용 관련 규제 완화 등 환경 변화를 고려해 국내용 지수는 상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금융위원회가 법령 개정에 나섰기 때문이다. 전날부터 시행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에는 코스피200 등 대표적인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경우 동일 종목 편입 상한을 기존 30%에서 해당 종목이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거래소는 해외에는 관련 규제가 많은 점을 고려해 국가별 규제 요건에 부합하는 해외용 지수를 병행 산출할 방침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국내 운용사가 해외시장에 ETF를 상장할 때 해외용 지수를 이용할 수 있고, 해외용 지수를 활용한 국내 ETF 상장도 가능하다”며 “이용자에게 다양한 지수 선택권을 주자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거래소는 이날부터 22일까지 의견 수렴을 거친 뒤 주가지수운영회의 심의를 거쳐 개선안을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시총 비중 30% 상한제는 시장이 특정 종목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코스피200 등 주요 주가지수에서 1개 종목의 시총 비중이 30%를 넘으면 비중을 강제로 낮추는 제도로 지난해 6월 도입된 바 있다.

하지만 상한제가 적용될 경우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ETF와 인덱스펀드는 삼성전자 보유 비중을 30%에 맞추기 위해 초과 물량을 팔아야 해 삼성전자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