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중앙아시아 10여개국, IMF에 코로나19 대응 재정 지원 요청

입력 2020-03-24 17: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IMF 이사회, 키르기스스탄 비상 자금 지원 검토 예정…첫 지원 대상 될 듯

▲미 워싱턴DC에 있는 IMF 본부 건물. 워싱턴/로이터연합뉴스
중동과 중앙아시아 10여개국이 국제통화기금(IMF)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재정 지원을 요청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지하드 아주르 IMF 중동·중앙아시아국장은 이날 IMF 블로그에 올린 기고 글에서 중동과 중앙아시아의 10여 개 국가가 IMF에 재정 지원을 요청한 사실을 밝혔다. 이어 이미 예산이 빠듯한 이들 정부는 보건 체계와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한 자금을 운용할 여유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주르 국장은 “무역 감소, 국내외 수요 급감, 생산 차질, 금융여건 악화 등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지역 내 국가들의 경제 전방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라크, 수단, 예멘 등 내전으로 경제 구조가 취약한 국가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더욱 심각한 위협에 직면했다. 원유 수출국들은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비롯한 산유국의 감산 합의 불발,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간 증산 경쟁까지 더해지면서 시달리고 있는 상태다.

아주르 국장은 “이들 지역 국가들의 비상 자금 지원 요청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IMF 이사회가 이번 주 후반부 쯤 키르기스스탄에 대한 비상 자금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키르기스스탄이 아마도 코로나19 발병 후 첫 지원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몇몇 국가의 요청에 대해서도 이사회가 앞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기고 글에서 각국 중앙은행은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지원을 위해 유동성을 공급할 준비를 해야 하며, 이번 위기가 소멸되기 시작하면 사회 기반시설에 대한 지출 등 경제를 지탱하기 위한 기존의 재정 정책 집행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실업률 상승과 부도를 통한 지속적인 사회복지 손실을 불러오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경제 대응 정책의 방향이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