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좌초 위기…한국노총 '협약 파기' 결정

입력 2020-03-13 11: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동계 "취지와 달리 현대차 이익만 대변…노동이사제 등 수용 안 해"

▲노동계가 투자유치 협약 파기를 결정하며 광주형 일자리가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8월 합작법인 출범식 모습. (뉴시스)

노사 상생형 사업인 '광주형 일자리'에 노동계가 불참을 선언했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전날 운영위원회를 열고 광주시 노사민정 협의회에서 맺은 '투자유치 협약'을 파기하기로 했다.

한국노동 층 광주시 각계 단체가 참여한 노사민정협의회는 지난해 1월 상생 방안을 담은 투자유치 협약을 맺은 바 있다.

광주시는 이 협약서를 근거로 현대자동차와 투자 유치 계약을 맺었다.

한국노총은 광주형 일자리가 노사 상생이라는 본래 취지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주주인 현대차의 이익만을 대변하며 훼손됐고, 노동이사제 등 노동계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은 점을 파기 이유로 들었다.

한국노총은 이달 말 청와대와 국회 앞에서 협약 파기 선언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노동계가 협약 파기를 결정하면서 노사 상생을 근거로 한 광주형 일자리는 좌초 위기를 맞았다.

광주시 관계자는 "노동계가 빠지면 광주형 일자리는 의미가 없어진다"며 "노동계와 함께 갈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