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서 출범한 감염병 대비체계 강화 데이터혁신·통신 워킹그룹서 중추적 역할
코로나19 능동감시 대상자 추적에도 이 시스템이 활용된다. 통신사는 로밍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감염병 오염국가 방문 이력 정보를 공익 목적으로 검역 당국에 제공한다. 또한 방문 당사자에게는 오염국가 방문 및 방문 후 귀국 시 감염병 예방법을 문자(SMS)로 보내 감염병에 대한 인지를 높인다. 이러한 발상의 출발은 2015년 ‘메르스(중동 호흡기증후군)’ 국내 습격이었다.
메르스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감염돼 귀국한 1호 확진자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공항 검역체계는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받는 등 수동적 검역 형태로 진행됐고, 확진자 스스로 감염병 발병 증세 등에 대한 인지도 부족했다. KT는 통신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를 방문한 국민에게 감염병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잠복기에 방문자가 증상이 발생해 병원에 방문했을 때 오염국가 방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했다.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2016년 ‘스마트검역시스템’ 운영을 시작했고, 2017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정보도 제공받고 있다.
그러나 해외 유심을 이용하는 외국인은 입국 전 행적을 파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 공조가 필수적이다. KT는 ‘스마트 검역’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통신데이터의 국제 공조를 통한 감염병 확산방지 방안으로 ‘GEPP(글로벌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를 제안했다. KT는 2018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WEF(세계경제포럼)에 참여해 GEPP를 소개했다. 그 결과 WEF에서 출범한 ERA(감염병 대비체계 강화) 데이터혁신·통신 워킹그룹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됐다. KT는 이후 전 세계 거점 국가와 협력해 GEPP를 구축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나, 케냐, 라오스 등지에서 GEP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전 세계 통신사 간 데이터를 공유하고, 국제보건기구를 중심으로 정책 및 질병 데이터를 공유한다면 효과적으로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다”며 “GEPP를 고도화하고, 국제적 대응 체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