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 블록처럼 로봇 구성 '로봇 모듈화' 국제표준 한국이 주도

입력 2020-02-07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표원, 서비스 로봇 국제표준화회의 개최

▲서비스로봇 모듈 활용의 예. 기계적·전기적으로 모듈화된 모듈러 로봇은 다양한 조합을 이룰 수 있다. 제어기가 이동부와 로봇 팔 내부에 포함돼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레고 블록처럼 로봇을 구성하는 부분을 표준화하는 로봇 모듈화(Modularity) 분야의 국제표준 개발을 한국이 주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7일 제주에서 열린 '서비스 로봇 국제표준화회의'에서 강원대 박홍성 교수가 제안한 '서비스 로봇 모듈화 일반요구사항'에 대한 국제표준안이 표준승인(FDIS)을 위한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7일 밝혔다.

국표원에 따르면 이번 표준안은 회원국에 최종 회람 후 국제표준으로 등록될 전망이다. 표준안은 로봇 시스템 구성 요소 중 기능적으로 독립성을 가지면서 부분개발·교체·재활용이 가능한 '로봇 모듈'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제조사 간 호환성, 로봇개발의 경제성과 직결되는 핵심 기술이다.

서비스 로봇 모듈화 표준이 한국 주도로 국제표준화되면 모듈 형태로 호환성이 확보된 로봇 부분품을 생산·유통할 수 있게 돼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보다 쉽게 로봇 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 로봇의 신제품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표준안은 오는 6월께 국제표준 제정 절차의 최종 관문인 표준승인(FDIS) 단계를 거쳐 금년중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예정이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국제표준안의 후속 표준인 '서비스 로봇의 모듈 간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인터페이스 공통 정보'를 규정하는 국제표준안을 오는 5월과 11월에 신규 작업과제로 제안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문승빈 세종대 교수는 '서비스 로봇 주행성능 국제표준(ISO18646-2)'에 '경로 정확도' 등 성능 항목을 추가해 올해 10월에 개정안을 제안할 예정으로 주행성능 국제표준 개정도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고기능의 로봇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로봇 산업의 핵심기술인 모듈화 분야의 국제표준을 우리나라가 선점할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지능형 로봇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수립해 혁신 성장산업인 로봇 산업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