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시장인 '사람특별시' 서울이 되도록 하겠다."
박진영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28일 "잘 듣고, 잘 말하는 게 시민소통기획관의 역할인 만큼 시민 의견을 잘 반영한 정책을 만들고, 필요한 때 필요한 분에게 정확히 전달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기획관은 "과거 행정의 대상이자 '민원인'이었던 시민은 점점 참여가 늘어나면서 '고객'이 됐다"며 "지금은 '시민이 서울시장'이라는 기조 아래 주권자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참여예산제, 시민숙의예산제, 청책토론회 등 '민주주의 서울' 정책은 시민이 직접 공론장을 형성해 토론하고 그 정책이 채택되는 과정"이라며 "시민이 시장이라는 방향 아래 도시 미래를 그려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기획관은 일부에서 제기되는 '서울시가 하는 것은 많지만 정작 뭘 하는지는 모르겠다'는 비판에 대해 오해라며 아쉬워했다. 그는 "기존 문법에 따르지 않고 시민·사회단체의 많은 제안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다"며 "서울시는 포용 도시, 전환 도시, 협치 도시 세 가지 콘텐츠를 2011년부터 8년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박 기획관은 갈등구조를 하나로 묶는 '포용력'을 강조했다. 그는 "어떤 도시에 큰 건축물이나 조형물을 세워 한 부분을 변화시키는 건 쉽지만 갈등 치유, 포용 등 시대 흐름을 반영한 정책을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추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며 "우리 사회의 빈 사각지대를 새롭게 행정 영역으로 끌고 들어온 변화가 있었다"고 자평했다.
이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강조한 '공정한 출발선'과 궤를 같이한다. 박 기획관은 "공정한 출발선을 보장한다는 것은 '포용도시'라는 흐름을 더 강조하겠다는 것"이라며 "빈부 격차, 세대 ·노사 갈등처럼 모든 갈등 구조를 해결하지 않고는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갈등이라는 부작용이 생긴 부분을 치유하고 미래로 전진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기획관은 "청년 취업을 돕는 정책, 집이 없어 결혼을 못 하는 일이 없도록 신혼부부의 주거를 지원하는 정책, 출산 후 여성의 퇴사를 막기 위한 돌봄시스템과 같은 공백에 주목하고 투자하는 게 바로 포용도시이자 사람특별시 서울로 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거가 계층을 나누는 현 부동산 문제도 도시의 포용력과 관련됐다"며 "포용도시의 일환으로 부동산으로 촉발된 불공정을 없애는 게 올해 집중할 사업"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