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13일부터 A형간염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입력 2020-01-12 14: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980~1990년생 바로 접종, 1970~1979년생은 항체검사 후 필요 시 접종

(자료=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는 13일부터 만성 B형간염 및 C형간염 환자, 간경변 환자 등 A형간염 감염 시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A형간염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A형간염 예방접종은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해야 한다.

접종대상은 해당 상병코드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20~40대(1970년~1999년생) A형간염 고위험군 약 23만 명이다. 이 중 과거에 예방접종을 완료했거나, 이미 항체가 형성돼 있는 사람을 제외한 약 7만8000명이 접종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연령별 A형간염 발생자는 30대 6440명(36.5%), 40대 6375명(36.1%), 20대 2452명(13.9%), 50대 1607명(9.1%) 등이었다.

질본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대상 질환으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사람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접종 대상자에게 개인별 알림 문자와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안내받은 대상자는 보건소 또는 지정 의료기관을 방문해 대상자 여부를 확인한 후 항체검사 또는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1980~1999년생은 낮은 항체보유율 고려해 항체검사 없이 바로 접종을 실시하게 된다. 항체보유율이 높은 1970~1979년생에 대해선 항체검사 후 예방접종이 필요한 사람에 대해서만 다음 달 1일부터 항체검사가 실시된다. 항체 없음이 확인되면 백신이 접종된다.

한편, 지난해 총 44개 집단에서 A형간염 집단발생이 보고됐다. 그중 39개(89%) 집단에서 환자가 조개젓을 섭취한 것으로 확인됐다. 25개 조개젓 제품을 조사한 결과 13개(52%) 제품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 지역별 신고환자 수는 경기, 서울, 대전, 충남 순으로 많았으나,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대전, 세종, 충남, 충북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질본은 A형간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성이 확인된 조개젓 섭취 △조개류 익혀 먹기 △요리 전, 식사 전, 화장실 다녀온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A형간염 예방접종 권고 등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