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3곳 중 1곳 자금 사정 악화…“정책 자금 확대 절실”

입력 2019-12-2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9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 실태' 결과 발표

(자료제공=중기중앙회)

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전국 중소기업 500개 업체를 대상으로 '2019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년 대비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답한 중소기업 비중은 32.2%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느낀 셈이다.

올해 대비 내년도 용도별 자금수요 전망에 대해서는 인건비 지급(39.6%), 구매대금 지급(38.8%)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설비투자와 R&D투자에 대한 응답률은 각 4.2%, 3.4%에 그쳤다.

올해 은행에서 신규대출을 받은 업체들은 대출 시 애로사항으로 높은 대출 금리(28.2%)를 꼽았다. 그 뒤를 대출 한도 부족(17.5%), 과도한 서류 제출 요구(16.9%),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의 심사(16.4%) 순으로 이었다.

한정된 정책자금을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업체군으로 기술력‧성장성 우수업체(64.2%), 일자리 창출 우수업체(34.2%)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창업(10.2%) 및 재창업(2.1%) 업체보다 더 높은 응답률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에 가장 절실한 금융지원 과제에 대해서는 정책 자금 지원 확대(61.0%)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불황 시 중소기업 대출 축소 관행 개선(26.8%), 담보대출 의존 관행 개선(24.0%), 장기대출 확대(22.6%) 순으로 나타났다.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내수침체 장기화, 근로시간 단축 등 인건비 상승, 글로벌 리스크 등 중소기업을 둘러싼 부정적 경영환경으로 인해 자금사정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예대율 규제, 생산적 금융 등으로 우량업체 중심으로는 대출 환경이 개선됐으나 일시적 경영난을 겪는 업체에는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