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4만5944가구 분양… 전체 47%가 정비사업 물량
내년 전국 민영 아파트 신규 분양 물량이 올해보다 6만 가구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청약 열기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의 12·16 부동산 대책을 통한 초강력 규제와 경기 침체 우려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설사들이 신규 사업 추진을 보수적으로 짜고 있어서다.
올해 분양시장에선 분양가와 대출 규제가 큰 변수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분양가 9억 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에 대해 중도금 대출이 금지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12·16 대책을 통해 앞으로 신규 분양하는 단지의 입주 시점 시세가 15억 원을 넘는 경우 잔금대출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이다.
2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 물량은 329개 단지, 32만5000여 가구(정비사업 조합원분 포함)로 예측됐다.
아직 사업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건설사들이 많고, 사업 일정을 확정하지 못한 단지를 제외한 물량이다. 특히 이는 작년 같은 시기에 조사했던 올해 분양계획 물량(38만6741가구) 대비 6만여 가구(15.7%)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이 물량 마저도 실제 이행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선주희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올해 각 종 변수로 당초 계획물량의 약 70%만이 시장에 나온 점을 감안하면 내년 분양 물량도 30만 가구를 밑돌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18만4253가구, 지방 14만1626가구로 수도권에 분양이 집중된다. 경기도 물량이 9만5171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고, 서울이 4만5944가구로 뒤를 잇는다.
지방에서는 대구에서 3만 가구가 공급되고 △부산 2만4800가구 △충남 1만7283가구 △경남 1만2505가구 △광주 1만1963가구 △대전 1만1580가구 등의 순으로 분양 물량이 나온다.
특히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분양 예정 물량이 총 15만1840가구로 전체 물량의 47%를 차지한다. 이는 지난해 정비사업 물량(9만7984가구)보다 5만 가구 이상 많은 것이다. 전체 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2000년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다.
서울은 내년 4월 29일 분양가 상한제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1만2032가구)을 비롯해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6642가구) △동작구 흑석3구역(1772가구) △은평구 수색6(1223가구)·수색7(672가구)·증산2구역(1386가구) △성북구 장위4구역(2840가구) 등 대규모 물량이 쏟아진다. 경기도는 광명시 2·10·14구역, 수원시 팔달8·10구역, 성남 신흥2구역 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월별로는 내년 초 설연휴와 2월 1일 청약시스템 개편 영향으로 3월부터 분양이 본격화된다.
건설사별로는 현재까지 분양계획이 공개된 업체 중 대우건설이 3만4400가구로 가장 많다. 이어 △GS건설 2만5619가구 △포스코건설 2만4682가구 △현대건설 2만1089가구 △HDC현대산업개발 1만6701가구 △대림산업 1만5910가구 등이다.
내년 분양시장은 분양가나 입지에 따라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를 기다리는 청약 대기자들이 계속 늘면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비인기지역 아파트나 분양가가 높은 단지는 미분양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는 설명이다.
특히 정부가 분양가 9억 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에 대해 중도금 대출을 금지한데 이어 12·16 대책에 따라 앞으로 신규 분양하는 단지의 입주 시점 시세가 15억 원을 넘는 경우 잔금대출을 전환하는 것도 전면 금지한 것도 청약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부동산114 김은진 리서치팀장은 "내년에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가는 막바지 정비사업 물량이 몰리며 청약시장이 달아오를 것"이라면서도 "고가 아파트의 경우 강도높은 대출 규제로 청약경쟁률은 종전보다는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