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진흥원 "중소기업 위주 산업구조로 한계…클러스터 육성 등 필요"
우리나라의 지난해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가 3만8000대를 기록, 2017년보다 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세계 산업용 로봇 도입 순위도 3위에서 4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세계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가 40만대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미국 등 선진국들이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는 데 비해 한국은 제조업 중심의 지원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6일 국제로봇연맹(IFR)이 최근 발간한 '월드 로보틱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는 전년보다 6% 증가한 42만2000대에 달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등 5개 국가가 74%의 합계 점유율을 차지했다.
중국이 전년보다 1% 줄어들긴 했으나 15만4000대를 도입하면서 36%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는 미국과 유럽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다. 특히 액수로는 전년보다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이 전년보다 21%나 증가한 5만5000대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미국도 22% 늘어난 4만300대로 8년 연속 신기록을 세웠다.
2017년에 세계 3위였던 한국은 지난해 오히려 5% 감소한 3만8000대에 그치면서 미국에 밀려 4위로 한 계단 내려앉았다. 우리나라가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가 줄어든 이유는 산업용 로봇의 핵심 소비처인 전자 산업이 비교적 부진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이다.
그러나 한국은 근로자 1만명 당 로봇 도입 대수를 나타내는 '로봇 밀도 지수(robot density)'는 774대로, 싱가포르(831대)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독일이 지난해 26% 증가한 2만7000대를 도입하면서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을 제치고 유럽 국가 가운데 1위에 올랐다.
산업별로는 자동차 업계에서 지난해 전체 산업용 로봇 도입의 약 30%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전기·전자와 철강·기계 업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서비스 로봇 산업 현황 분석 및 정책 제언' 보고서에서 "미국, 독일, 일본은 서비스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은 중소기업 위주의 산업구조로 인해 낮은 연구개발(R&D) 역량, 인력 조달의 어려움, 규제 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혁신·R&D 경쟁력을 위한 관련 클러스터 육성 및 기관 간 협업 △소비자의 요구를 고려한 서비스 로봇 개발· 보급 △관련 인재 육성 및 관련 학과 개설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