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자동차가 낸 사고 AI가 원인 규명한다… LG전자 기술 특허 출원

입력 2019-11-25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율주행 차량 간 사고 발생 시 AI 알고리즘 통해 책임 소재 판단

▲5G 자율주행차 ‘A1’이 서울 강변북로를 달리는 모습. (사진제공= LG유플러스)
자율주행차가 보편화한 도시에서 자율주행 차량 간 사고가 나면 책임 소재는 어디에 있을까.

자율주행차끼리 사고 발생 시 각 차량에 탑재된 인공지능(AI)이 스스로 사고 원인을 규명할 방법을 담은 기술 특허가 출원됐다. 자율주행 시대를 향해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이 진일보하고 있다는 평가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교통사고 처리 장치 및 교통사고 처리 방법’이란 특허를 최근 특허청에 출원했다.

LG전자 측은 “센서의 오작동 등의 이유로 자율 주행 차량에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책임 소재가 어디에 있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며 특허 출원 의의를 설명했다.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시 자율 주행 차량은 직접 획득한 영상 데이터, 타 자율 주행 차량으로부터 얻은 영상 데이터, 신호등 정보 등을 합성하고 편집한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점의 상황을 시간순으로 시뮬레이션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후 교통 법규 데이터를 입력하고 AI 알고리즘을 통한 머신러닝(기계학습) 결과에 기초해 사고의 책임 소재를 판단한다.

특히 해당 데이터를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면, 보험사는 이를 바탕으로 한 과실 비율을 계산할 수도 있다.

사고 당사자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로 안내된 보험사 제공 과실 비율을 납득하는지 선택한다. 과실 비율을 납득한다고 선택하면 보험사는 사고 당사자가 과실 비율을 확인했다는 정보를 전송하고, 보험금액을 책정한다.

사고 당사자가 과실 비율을 납득하지 않는다면 보험사 직원을 호출해 사고 위치로 직접 방문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또 주변 차량 등으로부터 정보를 더 수집한 후 2차 기계 학습을 통해 과실 비율을 다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번 특허는 2차 사고 및 교통 체증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도 담고 있다. AI가 사고 난 자율 주행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면, 피해 상황에 따라 목적지(정비소, 대피소, 갓길 등)를 자동 설정하고 이동시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보험사와의 제휴를 통해 관련 기술 및 프로그램을 도입하도록 한다면, 자율주행 시대에 편리한 사고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자율주행차 및 자동차 부품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적극 키우고 있다. 올해 초 마이크로소프트(MS)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GS칼텍스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나섰다. 지난달엔 자율주행 스타트업 코드24에 기아차 등과 공동 투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