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올해 2.0%, 내년ㆍ내후년 2.3% 성장"

입력 2019-11-21 1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1월 경제전망…올해 전망치만 0.1%P 하향 조정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 (자료=기획재정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전망보다 0.1%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단 내년 전망치는 기존대로 유지했다. 2021년엔 내년 수준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OECD는 21일(현지시간) 발표한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2.0%로 전망했다. 5월과 9월 전망했던 2.1%에서 0.1%P 내렸다. 다만 내년에는 성장률이 2.3%로 소폭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존과 동일한 전망치다. 2021년에도 내년과 동일하게 2.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OECD는 한국 경제에 대해 “글로벌 경기 둔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 반도체 가격하락 등으로 수출과 투자가 둔화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소비는 소비심리 약화 및 민간 일자리 둔화가 내구재 소비를 제약하고 있으나, 가계실질소득 증가가 소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업률은 경기 둔화와 2018~2019년 최저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보건복지 중심의 공공일자리 창출에 힘입어 하락세라고 봤다. 단 물가는 농산물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근원 인플레이션도 인플레이션 목표(2.0%)에 미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경제 성장률은 내년 전망치만 2.9%로 0.1%P 내리고 올해(2.9%)와 2021년(3.0%) 전망치는 유지했다. 이는 금융위기(2008년) 이후 가장 낮으며, 세계 잠재성장률을 0.3~0.4%P 하회하는 수준이다. 세계 경제 주요 하방 리스크로는 무역갈등 등 보호무역주의, 브렉시트, 중국 성장률 둔화를 지적했다.

국가별로도 터키(올해 0.6%P 상향, 내년 1.4%P 상향)를 제외하곤 대체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OECD는 정책 권고로 “성장 및 인플레이션이 추가적으로 둔화하는 경우, 향후에도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재정정책은 재정건정성을 감안하되, 단기 수요 진작 및 잠재성장률 제고 필요성을 우선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내년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확장 재정을 추진하는 대표적 국가로 한국을 언급하며 “이러한 경기 대응적 재정정책은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