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에 맞서 소·부·장 자립화 첫발…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사업 최초 승인

입력 2019-11-20 1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개최…2024년까지 1800억 원 투자·330명 이상 고용 창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월 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대외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의 불합리한 수출 규제에 맞서기 위해 출발한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의 실질적인 첫발이 내디뎌졌다. 반도체와 전기 전자 분야에서 수요 기업과 공급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4개 협력사업이 시작된 것. 정부는 이번 협력사업으로 2024년까지 투자 1800억원, 고용 330명 규모의 경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경기도 안산 율촌화학에서 열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4개 수요·공급 기업 간 협력사업이 최초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협력사업은 올해 8월 5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에서 나온 △협동 연구개발형 △공급망 연계형 △공동 투자형 △공동 재고 확보형 등 기업 간 협력모델을 구체화한 사업들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협력사업은 국내 공급망 안정의 시급성과 수출규제 대응의 중요성 등을 고려해 선도적으로 추진하겠다"며 "범부처 차원에서 연구개발(R&D), 금융, 규제 완화 등 협력사업의 원활하고 속도감 있는 진행에 필요한 사항을 중점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선 4개 협력사업의 대상은 반도체, 자동차, 전자‧기기 등 소재·부품·장비 핵심전략품목에 부합하는 품목으로 구성됐다. 모두 해외에서 전량 또는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기술력 확보가 시급한 품목이다.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수요·공급기업이 모두 참여해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연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A연구소가 공급기업 B사에 소재 원천기술을 제공하고 B사가 주도해 분말 소재를 개발해 C사에 공급한다. C사는 중간체를 만들어 D사에 납품하는 구조다. C사와 D사는 성능평가와 실증을 지원하는 한편, 기술개발 관련 피드백을 공급기업에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인 기술개발과 양산화 계획, 사업 목표가 뚜렷해 신규 투자·고용 효과도 눈에 띈다.

4개 협력사업은 2024년까지 국내 수요의 20~60%를 확보해 연간 3600억 원 이상의 매출 창출을 목표로 하고 같은 기간 투자 1800억원, 고용 330명 규모로 계획돼 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사업이 처음 시도되는 만큼 추진 과정에서 지속해서 개선·보완할 예정이다.

협력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협력사업 추진 단계별로 수요기업의 참여 수준을 높이고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와 양산 단계에서 수요 기업이 성능 테스트, 양산 평가 등 개발 품목의 품질 확보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수요·공급기업 협력과 생태계 구축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에 승인된 4개 협력사업은 첫 번째 사례로 매우 중요하다"며 "계획대로 추진돼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패키지 지원을 하고, 철저하게 이행 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