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공단, 해양오염사고 전용 '융합 드론' 개발ㆍ배치

입력 2019-10-24 15: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독성물질 등 대기오염농도 측정, 작업자 안전 기대

▲해양환경공단 직원들이 융합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해양환경공단)
해양환경공단은 24일 해양오염사고 전용 융합 드론을 개발해 인천과 여수지사에 시범적으로 배치했다고 밝혔다.

공단이 개발한 해양오염방제 전용 융합 드론은 야간탐색, 기름방제용 약재 살포, 안내방송, 대기 독성물질(HNS, 위험유해화학물질) 농도측정 등 해양오염방제 대응을 위한 4가지 필수 기능을 탑재한 특수 드론이다.

공단은 2017년부터 드론을 도입해 예방 순찰활동에 활용해 오고 있으며 이번 융합 드론을 통해 해양오염사고 등 해양재난·재해 사고에 더욱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해졌다.

특히 융합 드론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야간에도 유출유 등 탐색이 가능하고 방제용 약재를 필요한 곳에 정밀하게 살포할 수 있어 2차 오염도 예방할 수 있다.

또 HNS 등 독성물질 유출 시 대기오염농도도 측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과 공간적, 시간적 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단은 올해 인천과 여수지사에서 융합 드론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향후 점진적으로 전 지사로 확대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기존 드론의 한계점을 보완한 특수 드론은 해양사고 대응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활용해 깨끗하고 안전한 해양환경 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