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물질 등 대기오염농도 측정, 작업자 안전 기대
해양환경공단은 24일 해양오염사고 전용 융합 드론을 개발해 인천과 여수지사에 시범적으로 배치했다고 밝혔다.
공단이 개발한 해양오염방제 전용 융합 드론은 야간탐색, 기름방제용 약재 살포, 안내방송, 대기 독성물질(HNS, 위험유해화학물질) 농도측정 등 해양오염방제 대응을 위한 4가지 필수 기능을 탑재한 특수 드론이다.
공단은 2017년부터 드론을 도입해 예방 순찰활동에 활용해 오고 있으며 이번 융합 드론을 통해 해양오염사고 등 해양재난·재해 사고에 더욱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해졌다.
특히 융합 드론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야간에도 유출유 등 탐색이 가능하고 방제용 약재를 필요한 곳에 정밀하게 살포할 수 있어 2차 오염도 예방할 수 있다.
또 HNS 등 독성물질 유출 시 대기오염농도도 측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과 공간적, 시간적 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단은 올해 인천과 여수지사에서 융합 드론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향후 점진적으로 전 지사로 확대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관련 뉴스
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기존 드론의 한계점을 보완한 특수 드론은 해양사고 대응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활용해 깨끗하고 안전한 해양환경 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