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업계, 中 추격·日 수출규제 강화 극복 다짐

입력 2019-10-07 14: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10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 개최

▲이동훈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장이 지난해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서 열린 ‘제 9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가 중국의 매서운 추격,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를 극복해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 주도권을 이어가자고 다짐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는 7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디스플레이 분야 산·학·연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0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을 열었다.

올해로 열 번째를 맞은 ‘디스플레이의 날’은 2006년 10월에 국내 디스플레이 수출액이 처음으로 연 100억 달러를 돌파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2010년 제정됐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수출 규모는 2006년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한 뒤 2009년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또 1년 만인 2010년에는 300억 달러를 돌파하며, 반도체와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력산업으로 고속성장을 이어왔으며 2004년부터 15년 연속으로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1위를 지켜오고 있다.

1995년 브라운관 시장의 1위를 달리고 있던 한국은 LCD(액정표시장치)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우리나라는 일본 기업과 달리 2.5세대를 건너뛰고 12.1인치 패널 생산이 가능한 3세대에 바로 투자를 시작, 1999년 삼성과 LG가 LCD 시장 1, 2위를 차지했다.

이어 1990년대 후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로 눈을 돌리기 시작, 한국은 2007년 세계 최초로 OLED 양산에 성공했고 2012년에는 대형 OLED 양산을 시작하며 시장 개화 및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세계 OLED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96%에 이른다.

그러나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분야는 중국의 초대형 LCD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면서 공급과잉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LCD와 OLED 사업 초기처럼,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선점하기 위해 신속하고 과감한 투자를 단행한다면 중국과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권 경쟁에서 한국이 얼마든지 주도권을 재탈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향후 3년간 2조 7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소재·부품·장비의 기술력을 높이겠다고 밝힌 만큼 이 시점에 기업들이 나서 퀀텀닷, 마이크로LED, OLED 등 기술 장벽이 높은 차세대 분야에 과감히 투자한다면 이는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최초 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양산과 중소형 OLED 수출 확대에 기여한 삼성디스플레이 김성철 부사장(은탑 산업훈장) 등 디스플레이 산업 유공자 40명에 대한 포상도 이뤄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