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산자위 국감에 LG화학ㆍ삼성SDI 참석
연이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배터리 업계가 국정감사의 도마 위에 오른다.
LG화학과 삼성SDI가 참석하는 이번 국감에는 화재 원인 규명에 대한 주문과 사후 대책 강화 요청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발표된 ESS 화재의 원인이 배터리의 자체 결함이 아니라는 발표가 난 상황에서 배터리 업계가 국감을 받으며 또 다시 화살이 업계로 향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오는 7일 열리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국감에는 ESS 화재 문제가 다뤄질 예정이다. 김준호 LG화학 부사장과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이 증인으로 채택돼 참석한다.
산자위는 이번 국감에서 LG화학과 삼성SDI에 ESS 화재에 대한 책임 소지를 묻고 사후 조치 강화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ESS는 태양광·풍력 등에서 발전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후 필요한 때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로 ESS 산업도 성장세에 있었으나, 지난 2017년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태양광 발전시설과 풍력 발전 시설 등에서 ESS 연쇄 화재가 발생했다.
산자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이 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ESS 화재발생은 총 25건으로, 총 피해액은 382억원에 달했다.
ESS 화재 25건 가운데 LG화학과 삼성SDI가 관련된 사고는 22건(88%)이다. LG화학 제품은 전체 25건 중 13건(52%)의 화재와 관련됐다.
피해 규모는 삼성SDI 제품이 225억원(59%)으로 가장 컸고, LG화학 제품이 124억원(33%)으로 2위를 차지했다.
잇단 ESS 화재에 원인 조사에 착수한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는 지난 6월 화재의 요인으로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를 꼽았다.
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ESS 화재의 간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긴 했으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결과가 나오면서 LG화학과 삼성SDI는 화재의 책임을 면했다.
당시 산업부는 배터리셀을 안전인증 대상에 포함해 생산 공정상의 셀 결함 발생을 예방하는 등 안전 대책과 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며, 배터리 업계 또한 자체적인 제품 안전성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최근 3건의 ESS 화재가 또 다시 발생하면서 산자위의 조사결과와 대책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국감에서도 이 같은 내용이 다뤄질 예정이다.
최인호 의원은 “지난 6월 민관합동 조사위원회가 조사결과를 발표했지만 명확한 원인이 발표되지 않아 관련 업계와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ESS 화재 원인 규명과 예방대책 마련에 산업부가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배터리 업계는 이미 배터리의 결함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조사위의 결과가 발표됐고 신규 화재의 경우 원인 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배터리 업체의 문제로 몰아가는 분위기를 경계하고 있다.
동일한 ESS를 사용하고 있는 해외에서는 화재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화재가 잇달아 발생하는 만큼 국내 ESS 사용 환경과 운영·관리 시스템을 점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보고가 없고 국내에서도 배터리셀의 자체 결함이 아니라는 조사 결과가 나온 상황에서 배터리 업체만의 문제로 비춰지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면서 “어떠한 운영 환경에서도 화재가 나지 않도록 ESS 전 공정의 안전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설치나 운영 과정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