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거래 아파트 24%가 10억원 이상…1년새 2배

입력 2019-09-29 11:12수정 2019-09-29 13: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9년 서울 주택 매입자 지역별 현황.(자료 제공=국토교통부 자료·안호영 의원실)
올해 서울에서 매매 거래된 아파트 4채 중 한 채는 실거래 가격이 1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2016∼2019년(8월27일 기준) 연도·지역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계약일 기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2만6121가구의 아파트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이 가운데 실거래가가 10억원 이상∼20억원 미만인 아파트는 총 5230가구로 전체의 20%를 차지했다. 20억원을 넘는 아파트는 4.2%(1106가구)였다. 10억원을 넘는 아파트가 전체 매매 아파트의 24.2%였다.

지난해 10억원 이상∼20억원 미만 아파트와 20억원 이상의 아파트가 각각 11.8%, 2.2%로 총 14%였던 점을 감안하면 고가 아파트 비중은 약 2배에 이르고 있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는 부산(1가구), 대구(1가구), 인천(1가구), 경기(7가구)에서 단 10가구의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었다.

이번 통계에서 ‘2015∼2019년(7월 말까지) 서울 소재 주택 매입자 거주지’를 살펴보면 올해 서울 소재 주택(공동주택·단독주택 등)을 산 사람은 모두 5만2472명으로 이 중 서울 거주자는 4만679명이었다. 나머지 22.4%(1만1740명)는 서울 밖 다른 지역에 산다는 얘기다. 비(非)서울 거주자의 비율은 지난해(21.2%)보다 다소 높아졌다.

부동산 가격 상승을 이끄는 강남 3구만 보면 비서울 거주 구매자의 비중은 23.8%(6833명 중 1624명)로, 서울 평균(22.4%)보다 더 컸다.

안호영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계속되는 부동산 안정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은 여전히 고공 행진 중”이라며 “특히 지방 자산가들까지 서울 고가 아파트에 몰려 전체 집값 상승을 주도하고 있어 정부는 집값 안정을 위해 남은 임기에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등 더 강력하고 효과적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