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ㆍLG, 8K TV 공방 과열…이번엔 영상재생 장치 놓고 신경전

입력 2019-09-25 16: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LG, 8K 영상재생 장치 제공…삼성 “8K TV 아님을 스스로 인정한 꼴”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전자 TV소프트웨어플랫폼개발실장 이강원 상무가 LG 8K 올레드 TV(오른쪽)와 타사 제품으로 USB에 저장된 8K 유튜브 영상을 재생하고 있다. 왼쪽 제품은 해당 포맷을 지원하지 않아 영상을 보여주지 못하고, LG 8K 올레드 TV는 8K 유튜브 영상을 제대로 구현한다고 LG전자는 주장했다.(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8K TV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8K 영상재생 장치를 제공한다고 밝힌 것과 관련, 삼성전자가 LG전자의 8K TV가 8K가 아님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25일 LG전자는 8K TV 구입 고객 대상으로 8K 영상재생 기능 지원을 위한 별도장치인 ‘업그레이더’를 연내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LG 8K TV에 업그레이더를 연결하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8K)는 물론, 유튜브의 8K 동영상 재생규격인 ‘AV1’ 또는 ‘VP9’로 제작한 영상도 유튜브 사이트에서 바로 즐길 수 있다.

LG전자는 “8K 영상재생 관련 규격이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주요 8K 영상 재생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8K 콘텐츠가 아직 부족하지만, 8K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유튜브’라는 점을 적극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8K 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것이 알려지자 뒤늦게 별도의 외부장치를 연내에 제공하겠다고 하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8K TV가 아님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삼성은 8K협회 회원사로 ISO기준을 충족시키는 8K TV를 판매하고 있으며 55에서 98인치까지 풀라인업을 구축해 8K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삼성전자 8K TV는 업계 표준 코덱 (HEVC) 을 충족시키는 모든 동영상을 별도의 외부장치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유튜브의 경우, 별도의 8K 코덱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튜브와 호환 코덱에 대해 긴밀히 협의중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삼성전자는 “경쟁사들의 8K 시장 참여에 대해서는 적극 환영하나, 건강한 8K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업체들이 한 자리에 모여 표준을 확립하고 최적의 8K 환경을 제공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LG전자는 내년에 출시하는 8K TV 신제품에는 주요 8K 영상재생 기능을 내장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