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이 떨어졌다” 부가가치유발계수 5년만 하락

입력 2019-09-25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입 원자재값 상승에 부가가치율·생산유발계수 동반 하락한 때문

우리 경제의 생산성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물의 가치창출을 의미하는 부가가치유발계수가 5년만에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2017년 산업연관표 연장표 작성 결과’ 자료에 따르면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016년 0.791에서 2017년 0.780으로 떨어졌다. 이는 2011년 0.634에서 2012년 0.632로 하락한 이후 첫 내림세다.

부가가치유발계수란 어떤 상품의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했을 때 이를 충족하기 위해 해당 상품을 만드는 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를 의미한다.

부가가치유발계수를 구성하는 부가가치율(2016년 43.8%→2017년 43.5%)과 생산유발계수(1.807→1.795)도 동반 하락했다.

정규채 한은 투입산출팀장은 “수입 원자재값 상승과 중간재 국산화율 하락이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산화율은 2016년 79.5%에서 2017년 78.3%로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