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보복 관세 반대”...美부품업체, ‘관제 면제 요구’ 1만 건 민원 폭탄

입력 2019-09-23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출처:WSJ

미국 기업들이 자국 정부의 대중 보복관세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한 부품업체가 관세를 면제해 달라며 1만 건에 달하는 민원 폭탄을 넣어 눈길을 끌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한 이래 지난 1년 동안, 미국 기업들의 관세 면제 요청 민원이 1만6000건을 넘어섰다. 이 중 1만 건은 미네소타주에 있는 부품업체 애로헤드가 넣은 것이다.

직원 1000명 규모의 애로헤드는 자동차, 잔디 깎는 기계 등에 필요한 수천 개의 수리 부품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현재 수입 품목의 관세율은 25%인데 10월 15일 이후에는 30%로 인상될 예정이다.

애로헤드 관계자는 “관세 인상이 자사의 사업 모델을 뒤흔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산 의존도가 높아 기존 제조업체 부품에 비해 저렴한 대체품을 판매하는 게 경쟁력인데, 정부가 중국산에 대한 관세율을 높이면서 타격이 이만저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존 모수닉 애로헤드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무역전쟁으로 타격을 받고 있는 건 미국 기업”이라면서 “관세 면제를 위해 모든 것을 보류한 상태”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관세 면제를 허가받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전문 인력과 비용 등이 부족한 데다 관세 요청 절차 또한 명확하지 않아 부담이 더 크다는 지적이다. 그 탓에 기업들이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면제 요청에 나서고 있는데 어떤 게 효율적인지도 알 수 없다고 WSJ는 지적했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에서만 구할 수 있는 제품인지, 관세가 회사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심각한지 등을 따져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면제 허가 기준의 불명확성에도 요청 건수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WSJ가 웹사이트에 올라온 요청건을 분석한 결과, 최근 몇 주 사이에 매일 수백 건이 추가되고 있다.

관세 면제를 요청하는 기업들은 교육 과학용품업체, 스프링클러 제조업체 및 농업용품 제조업체 등 다양한 부문에 걸쳐 있다.

WSJ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비용을 중국이 부담한다고 강조했지만 사실은 미국 수입업자들이 떠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관세 부과로 인한 고비용이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면서 중국 제품 말고 대체품이 없는 것도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