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수급 등 반영한 서울 부동산 종합지수 1년4개월래 ‘최고’

입력 2019-09-08 10: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연구원, “서울 주택매매 압력지수 9개월래 가장 높아”

▲국토연구원 부동산 종합지수(K-REMAP) 동향. (자료제공=국토연구원)

유동성과 금리, 주택 수급 등 실제 부동산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여건까지 고려한 부동산 종합지수가 1년 4개월 내 최고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7월 말 K-REMAP(부동산시장 진단·전망시스템) 지수는 전국 기준 98.8로 산출됐는데, 이는 지난해 9월(99.8)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토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K-REMAP 지수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경기동행지수·M2(총통화) 변동률, 미분양 주택 수,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거시경제·금융 주요 변수를 반영해 산출한 ‘부동산 압력지수’와 소비자·중개업자 설문조사 결과인 ‘부동산 소비심리 지수’를 결합한 것이다. 소비자가 체감하는 현재 부동산시장 경기와 경제지표로 예측되는 미래 부동산시장 방향을 종합적으로 가늠하는 데 유용하다는 게 국토연구원의 설명이다.

지수 범위에 따라 하강(95미만), 보합·안정(95∼115), 상승(115 이상) 크게 3단계로 구분되고, 다시 단계별 3개 등급으로 세분해 모두 9개 국면으로 판정된다.

이에 따르면 7월 서울 지역의 K-REMAP 지수는 115.5로,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시점(9월 114.8)보다도 높을 뿐 아니라 같은 해 3월(117.8) 이후 무려 1년4개월만에 최고값을 기록하며 ‘상승’ 단계에 다시 진입했다.

현재 전반적 경제 상황이 부동산 가격에 얼마나,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내는 ‘압력지수’를 따로 놓고 보면 7월 서울 주택 매매시장의 압력지수 127.2로, 지난 해 10월(127.9)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6월(125.6)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 단계를 유지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방안을 서둘러 꺼낸 것도 이처럼 고조되는 경제 지표상 부동산 상승 압력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공개된 서울 지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 지수 역시 7월 기준 137.8로, 6월(128.3)보다 9.5포인트 뛰며 2018년 9월(147.0)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부동산 소비자심리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680가구, 중개업소 2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이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가격 상승’이나 ‘거래 증가’를 체감했다는 응답이 반대의 경우보다 많다는 뜻이고, 지수 기준에 따른 국면은 K-REMAP·압력지수와 마찬가지로 상승·보합·하강기로 구분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