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국 집값 0.05% 하락. 서울은 0.14% 오르며 두달째 상승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9/600/20190902172453_1361954_344_156.jpg)
2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0.14% 올라 전월(0.07%)보다 상승폭이 2배로 커졌다.
이번 조사 기간은 7월 16일부터 8월 12일까지로 지난달 12일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확대 시행 발표 직전까지의 변동률이다.
구별로는 성동구(0.23%)가 금호·행당·하왕십리 일대 대단지 수요 증가로 상승했고, 마포구(0.22%)는 공덕·아현동 등 역세권 위주로 집값이 올랐다. 광진구(0.18%)에서는 동서울터미널 현대화 사업 및 정비사업 호재가 있는 구의·자양동 위주로 상승했다. 서초(0.26%)·강남구(0.22%)에서는 재건축 단지는 분양가 상한제 도입 예고에 제자리에 머물거나 소폭 하락했지만, 상승폭이 낮았던 단지나 신축 아파트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양천구(0.08%)는 재건축 단지에 대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상승폭이 축소됐고, 강서구(0.06%)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던 단지들의 수요와 교통망 확충 기대감에 상승 전환했다.
서울 전셋값도 0.09%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중(-0.06%)·서대문구(-0.03%)는 노후화된 구축 단지 위주로 하락한 반면 성동(0.13%)·마포구(0.12%)는 신축 대단지 수요 증가로 상승했다. 광진구(0.09%)에서는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서초(0.57%)·동작(0.18%)·강남구(0.18%)는 정비사업 이주수요와 신축 및 학군 수요가 가격을 밀어올렸고, 영등포구(0.10%)는 역세권 중·소형 평형 위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 전환했다.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0.05% 하락했다. 수도권은 0.04% 상승한 반면 지방 주택 가격은 0.13% 하락했다.
경기(0.01%)는 서울 접근성이 양호하거나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 위주로 오르면서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대전(0.77%)에서는 도안신도시 인근과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던 단지들이 강세를 보였다. 대구(0.03%)는 정비사업 및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반면 강원(-0.43%)·경남(-0.40%)·충북(-0.35%) 등은 공급 물량 누적과 노후주택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했다.
이 기간 전국 전셋값은 0.10% 하락했다. 수도권은 보합, 지방 0.19% 내렸다.
울산(-0.47%)·경남(-0.48%) 등 입주 물량이 증가하거나 지역 기반산업 침체로 인구가 유출된 지역은 하락세가 지속됐다. 대구(0.09%)·대전(0.28%)은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