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연 금융부 기자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8/600/20190806180035_1353762_150_200.jpg)
보험사들엔 분명 긍정적이다. 법으로 기준을 정해놨으니 쓸데없는 수수료 경쟁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보험사들의 사업비 지출, 차익거래를 노린 작성 계약은 감소할 것이다. 일명 ‘먹튀’ 설계사들로 인한 고아계약이 줄어들고, GA에 뺏긴 설계사들도 다시 찾아올 수 있을 것이다.
반대의 상황에 놓인 곳도 있다. 보험대리점(GA) 업계다. 보험사 전속설계사와 GA 수수료가 동일하게 지급된다면 GA의 경쟁력은 약화할 수밖에 없다. 이는 재무구조가 열악한 중소형 GA들의 경영악화로 이어지고, 결국 폐업위기까지 처할 수 있다. 저소득설계사들은 구조조정으로 인해 업계를 떠날 수 있다는 예상까지 나온다. 하지만 무려 23만 명이다. GA 관리지원 인력까지 포함하면 25만 명에 육박한다. 전속설계사보다 많은 수치다. 한 칼로 쳐내기엔 너무 커버렸다.
단계적 해결책이 없다면, 그들에게 충분한 유예기간을 줘야 한다. 최소한 다른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시간 말이다. ‘소비자보호’와 ‘보험산업 신뢰도 제고’도 좋지만 25만 명의 생존권도 유념해야 한다. 정부가 쉴 새 없이 외쳐대는 일자리 창출 정책은 유독 GA 업계만 비껴가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