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리서치센터장 4인방이 보는 하반기 증시는?

입력 2019-07-02 17:29수정 2019-07-02 18: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일 오후 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제 1회 증시콘서트'에서 남길남(맨 오른쪽)자본시장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의 사회로, 4개사 리서치센터장과 함께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이채원 대표,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준용 대표, 자본시장연구원 강현주 거시금융실장이 하반기 증시 전망에 대해 종합토론을 하고 있다. (김나은 기자 better68@)
증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주요 리서치센터장들은 하반기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 핵심 변수로는 미중 무역분쟁의 향방과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통화완화책이 꼽혔다. 코스피 예상밴드 최저점은 1950선, 최상단은 2350선이다.

2일 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 불스홀에서 열린 ‘제1회 증시콘서트: 2019 하반기 증시 대전망’ 세미나에서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하반기 국내 주식시장은 △미중 무역분쟁 타결 여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중국의 추가 부양정책 강도 △기업실적 바닥통과 여부에 좌우될 것”이라며 “연내 무역협상 타결을 기본 시나리오로 코스피 상단을 2350선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미국 금리 인하와 관련해서는 “무역분쟁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50bp(1bp=0.01%) 수준의 보험 차원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며 “시장에서는 내년까지 100bp 인하 가능성이 있다고 하지만 이는 보험 차원이 아니라 침체된 경기를 방어하기 위한 금리 인하라 성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오 센터장은 “미국이 하반기 이후 대선 사이클에 진입하는 점, 중국의 경우 IT 관련 제조업 기반이 일수에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연내 타결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면서 “불확실성은 있지만, 시장에서도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날 해외증시를 전망한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미중 무역분쟁의 연내 타결 가능성은 작다고 봤다. 조 센터장은 “부분 타결은 가능할지 몰라도 무역협상 타결 가능성은 올해를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다만 협상을 재개했다는 것만으로도 시장의 우려가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글로벌 트렌드 속에 국가별로 자본시장 성장세가 차별화될 전망”이라며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가운데 5G,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등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 나스닥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장기적인 금리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하반기에도 세계 경제 둔화, 팽창적 통화정책 등으로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면서 ”다만, 글로벌 경제의 저금리 의존이 장기화되면 금리 쉽게 오르지 못하고, 낮은 금리로 돈을 꿔서 살아남는 ‘좀비기업’이 늘어 구조조정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이어질 전망“고 분석했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에 대한 의견은 조금씩 엇갈렸다. 오현석 센터장은 ”현재 글로벌 경제가 침체로 가고 있느냐에 대해 논쟁이 많은 상황이지만 소프트랜딩(경착륙)과 침제는 구분해야 한다“면서 ”미국은 올해와 내년 2%대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기 때문에 경기는 둔화될 수 있지만, 리세션을 거론하기엔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반면 이창목 NH투자증권 센터장은 “하반기 글로벌 경제는 미중 무역분쟁 불확실성에 따른 하강 요인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완화 기조에 따른 상승요인 공존으로 뚜렷한 변화는 없는 흐름일 것”이라면서도 “경기 침체는 언젠가 온다고 가정할 경우 실업률 추이 등을 봤을 때 미국 경제가 2021년 초에 경기침체가 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