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경남도와 항공MRO 산업 단지 착공

입력 2019-06-27 14:29수정 2019-06-27 16: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남 사천이 항공우주산업의 메카로 우뚝 선다.

경남도와 사천시는 27일 1500억 원을 투자해 사천시 용당 부지에 연구개발과 생산을 넘어 항공 MRO까지 망라하는 복합항공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항공 MRO 산단 착공식을 개최한다.

착공식에는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 사장을 비롯해 여상규 국회의원, 문승욱 경상남도 경제부지사, 김지수 경상남도의회 의장, 송도근 사천시장, 조연기 한국항공서비스주식회사 대표 등 관계자 약 300여 명이 참석한다.

산단 규모는 총 31만1880㎡(9만4344평) 규모다. 사천시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1·2단계 14만9424㎡(4만 5201평)를 착공하고 이후 지속해서 개발할 예정이다.

KAI는 2017년 12월 국토부로부터 항공 MRO 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항공 MRO 산업 인프라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KAI는 지난해 6월 국내 최초의 항공MRO 전문업체인 한국항공서비스주식회사(이하 KAEMS)를 정식 출범했다.

KAEMS는 KAI가 지분 66.4%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19.9%, 그 외 투자기관과 참여업체가 13.7%를 보유하고 있다.

KAEMS는 작년 11월 국토부로부터 정비조직(AMO)과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의 인증을 받아 하반기에 미연방항공청(FAA) 정비능력 인증 확보 시 국내외 항공기 정비물량의 본격 수주가 예상된다.

현재 85명의 전문기술 인력을 보유한 KAEMS는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B737 기체중정비를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미 공군 F-16 창정비 사업을 진행 중으로 연말까지 100명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KAEMS는 1단계 부지에 중형여객기 3대 또는 대형여객기 1대를 정비할 수 있는 민수용 행거와 항공기 주기장을 구축하고, 2단계 부지에는 항공기 도장도 가능한 민수용 행거와 부품, 자재창고를 구축할 계획이다.

KAEMS는 기체 정비를 시작으로 부품/엔진정비, 항공기 종합 후속 지원을 통해 최종적으로 항공기 성능을 개량하는 정비 개조와 설계개발까지 사업을 확대할 목표로 준비 중이다.

KAEMS 관계자는 “국내 항공사가 해외에 정비 위탁하고 있는 물량의 국내 전환이 시급”하다며 “운항사의 항공기 가동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정비 기간을 단축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해외에 위탁하던 약 1조 원 규모의 항공기 정비물량이 국내로 전환되면, 외화 절감 효과와 국내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