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장기업 신규 일자리 절반, 중견기업이 창출

입력 2019-06-19 13: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견련 ‘2018년 말 기준 상장 중견기업 경영 실적’ 발표

▲ 2018년 말 기준 상장기업 근로자수 및 증감률(자료제공=중견련)

제조업 불황이 지속하는 가운데서도 상장기업 일자리의 절반 가량을 중견기업이 만들어낸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는 ‘2018년 말 기준 상장 중견기업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690개 상장기업 신규 일자리 2만1131개 중 1만841개가 중견기업에서 나왔다. 비율로는 절반을 넘은 51.3%다.

구체적으로, 제조 중견기업 542개 사가 5744개, 비제조 중견기업 233개 사가 5097개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대기업은 43.4%인 9168개를 기록했고, 중소기업은 5.3%인 1122개에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근로자 수 증가율은 중견기업 2.5%, 대기업 1.1%, 중소기업 1.0% 순으로 나왔다. 제조업에서는 식료품 부문 1,647개, 전자부품 부문 921개, 화학제품 부문 799개 순으로 일자리가 증가했다. 비제조업에서는 정보서비스, 건설 부문이 각각 2577개, 2336개 등으로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상장 중견기업의 매출액은 전체 상장기업의 22.8%를 차지하는 297조8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수치다. 대기업은 74.1%인 969조 원, 중소기업은 3.1%인 41조5000억 원을 기록했다.

비제조 중견기업의 매출액이 3.5% 증가했지만, 제조 중견기업의 매출액은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제조업에서는 화학제품 부문은 9.7% 늘어난 31조9000억 원, 자동차·트레일러 부문은 2.0% 증가한 26조5000억 원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에서는 모든 부문의 매출이 증가했다. 정보서비스 부문 매출이 가장 크게 늘어 전년 동기대비 9.0% 증가한 14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상장 중견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6% 줄어든 15.7조 원으로 확인됐다. 특히 비제조업 영업이익이 1.4% 감소한 데 비해 9.4%의 하락 폭을 기록한 제조업 실적 부진이 두드러졌다. 제조업에서는 1차금속 (-53.0%), 금속가공 (-39.5%), 기계장비 (-34.3%) 순으로 부문별 영업이익이 떨어졌다. 비제조업에서는 운수 부문 (-183.4%), 전문과학서비스 부문 (-29.2%) 순으로 감소했다.

박종원 중견련 사업본부장은 “전년도보다 조금이나마 일자리가 늘어난 것은 다행스럽지만, 급격한 노동 정책 변화, 심화하는 미중 무역 분쟁 등으로 기업의 고충은 갈수록 커간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여전하다”며 “좋은 일자리 창출의 주역이자 경제 재도약의 견인차로서 중견기업의 활력을 높일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