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기업 43% "주총 의결권 확보 어려워"

입력 2019-06-07 18: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코스닥 업체들이 주주총회 의결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 예년보다 비용을 많이 썼지만 큰 효과는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협회는 12월 결산 코스닥 상장사 634개사를 대상으로 주총 운영현황을 지난 4월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의 42.6%(270곳)가 주총 의결권을 확보하기 어려웠다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작년 조사 때의 33.2%보다 '어려웠다'는 응답률이 9.4%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특히 어려움을 겪은 270곳 중 68.5%인 185곳은 감사 선임 안건의 의결권 확보가 어려웠다고 답했다. 의결권 확보를 위해 취한 조치로는 '임직원 동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임직원이 방문 및 전화 등을 통해 직접 주주의 참여를 독려했다(복수 응답)는 업체는 338곳으로 전체의 53.3%에 달했다.

전자투표제 실시(234곳·36.9%), 전자위임장 활용(191곳·3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자투표를 통해 의결권을 행사한 주주의 지분율은 평균 6.4%로 지난해(4.6%)보다 1.8%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자위임장을 통한 주총 참여 지분율은 평균 0.4%로 지난해(0.5%)보다 오히려 줄었다.

조사 대상 업체 중 5.7%인 36곳은 의결권 위임 권유 대행업체도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대행업체에 지불한 비용은 평균 5546만 원이었다. 이는 작년 조사 때의 4393만 원보다 26.2% 늘어난 수준이다.

그러나 이들이 대행업체를 통해 확보한 주총 참여 지분은 평균 12.8%에 그쳤다.

코스닥 기업들이 주총에 들인 총비용은 평균 759만 원으로 작년(548만 원)보다 38.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요 비용을 구간별로 보면 '500만∼1000만 원'이라는 업체가 106개사(16.7%)로 가장 많았다.

코스닥협회 측은 “의결권 확보가 어려웠다는 답변이 늘어난 주된 이유는 지난 2017년 이후 섀도보팅제가 폐지된 데다 감사(위원) 선임에 대한 의결권 제한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