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봉 평가한 文대통령 추념사…보수야당 "귀가 의심스럽다" 비판

입력 2019-06-06 16: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당 “심각한 역사인식, 귀를 의심케 해”…지상욱 “김원봉 서훈 끝까지 막겠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일부 의원은 6일 문재인 대통령이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독립유공자 지정 여부를 놓고 논란이 제기됐던 항일 무장독립투쟁가 김원봉의 공적을 거론한 데 대해 발끈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사에서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며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평했다.

자유한국당은 곧바로 “귀를 의심케하는 대통령의 추념사였다”고 반응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6.25에서 전사한 호국영령 앞에서 김원봉에 대한 헌사를 낭독한 대통령이야 말로 상식의 선 안에 있느냐”고 반문했다. 전 대변인은 “이 정부에서 김원봉에 서훈을 안기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은 보훈처를 넘어 방송 드라마에 이르기까지 전방위로 펼쳐지고 있다”며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가 종지부를 찍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 대변인은 “대통령의 추념사 속 역사인식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며 “독립과 건국이라는 역사의 갈래를 분별하지 않고 또한 6.25 전쟁이라는 명백한 북의 침략전쟁을 부각시키지 않다보니, 1948년 월북해 6.25에서 세운 공훈으로 북한의 훈장까지 받고 북의 노동상까지 지낸 김원봉이 졸지에 국군창설의 뿌리, 한미동맹 토대의 위치에 함께 오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만희 원내대변인 역시 논평을 통해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하고 6·25 남침의 공으로 북한에서 훈장까지 받았다는 김원봉을 콕 집어 언급한 데 대해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원내대변인은 “대통령의 언급이 김원봉 등 대한민국에 맞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들까지 서훈하기 위한 이 정권의 분위기 조성용 발언은 아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에서도 문 대통령의 추념사에 대한 반응이 나왔다. 지상욱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 보훈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김원봉에게 독립유공자 서훈, 즉 대한민국의 ‘건국훈장’을 주려고 시도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으로 또 국민의 한 사람으로 끝까지 막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