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해외 자원개발 투자 '속빈 강정'

입력 2008-07-17 08:15수정 2008-07-17 10: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에너지 붐' 탄 편승…운영권 보유 36% 그쳐

국제유가가 연내 최고 2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다시금 자원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대한광업진흥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을 필두로 국내 기업들의 해외자원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새로운 유전과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에 잇달아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해외자원개발 붐'을 일으켰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둘 만큼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정부의 자원개발정책 일관성뿐만 아니라 규모 있는 자원개발 전문기업 육성, 차별화 전략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운영권 보유 36% 불과

16일 지식경제부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해외자원개발을 위해 187개 기업이 53개국 286개 사업에 진출해 있다.

자원별로는 석유·가스의 경우 61개 기업·123개 사업(32개국)에, 일반 광물의 경우 126개 기업·163개 사업(37개국) 달한다.

투자규모도 지난해 31억9000만달러를 기록해 2002년 대비 6.4배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 1977년 해외자원개발사업이 시작된 이래 2005년 처음으로 투자액이 10억달러를 넘었으며 이후 투자규모가 매년 약 10억달러씩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00개가 넘는 기업들이 매년 30억달러의 투자를 하고 있지만 정작 현재 생산이 이뤄지는 몇 가지 경우를 제외하면 커다란 성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우리 기업이 운영권을 확보한 사업 및 투자회수율도 미흡한 실정이다.실제로 탐사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에서 각종 기술·설비도입과 일정을 책임지는 사업권을 확보한 사업은 286개 중 102개(36%)에 불과하다.

또 지난해 말까지 30년간 진행된 455개 사업에 대한 누적투자액은 135억7000만달러인데 반해 회수액은 110억5000만달러로 81.4%의 투자회수율을 보였다.

김득갑 삼성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말 현재 진행 주인 286개 사업의 투자회수율은 76.4%"라며 "자금력의 한계로 자원개발사업이 탐사단계에 편중(52.8%)된 것이 수익성 악화의 주된 이유"라고 분석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상대적으로 유전개발에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 석유공사도 글로벌 메이저와 비교하면 규모·수익면에서 미미하다"며 "민간기업 역시 아직 비주력부문인 탓에 전체 에너지수요에서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민간기업의 투자유형 역시 전기·가스설비산업에 집중됐다는 지적이다.

업체 한 관계자는 "전기·가스설비산업에 대한 투자가 자원개발과 아예 무관하지는 않지만 사실은 유전 탐사, 개발과 같은 상류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나 판단 능력을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업 무산으로 철수 많아져

아울러 에너지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기업들의 해외사업 진출이 폭증했지만 리스크를 고려하지 않아 결국 사업 무산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항만 및 배후 에너지단지 개발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던 인네트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사업을 공개 입찰방식으로 변경하면서 일방적으로 배제됐다. 사실상 사업중단을 중단한 것이다.

아르헨티나 석유광구 인수로 각광받던 코스모스피엘씨(옛 페트로홀딩스, 튜브픽쳐스)는 지난해 12월 자원개발업에서 철수했다. 회사 이름도 바꾸면서 석유사업과의 인연을 끊었다.

다휘(옛 이스타비)도 지난해 야심차게 추진하던 에멀전 연료 및 석탄 사업을 포기했으며 에이치앤티는 지난해 우즈베키스탄 규사광산 개발을 추진한다고 했으나 결국 무산됐다.

해외자원개발의 경우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험부담이 높고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김 수석연구원은 "개발 성공률을 높이고 해외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수합병(M&A)을 통해 대형화가 절실한 실정"이라며 "글로벌경쟁이 가능한 규모와 경쟁력을 구비한 자원개발 전문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원개발 관련 큰 그림 그려야

해외자원개발이 뒤처지지 않고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정부-자원개발기업-자원실수요기업'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또한 원유 매장량이 많으면서 경쟁강도가 약한 신흥개발권 국가 등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것.특히 정책적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자원 확보에 앞으로 더 많은 비용이 들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일관된 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며 "그래야 기업도 적극적인 투자가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단순한 지분참여 방식보다는 자원개발, 건설 및 플랜트, 기간산업 및 정보통신을 함께 묶는 '패키지형 자원개발모델'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지직도 제기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