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쪼그라드는 공모펀드와 국민자산 증대

입력 2019-05-02 17: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나은 자본시장1부 기자

“펀드는 재미없잖아.”

‘투자하세요?’라는 주변인의 질문에 ‘펀드’라고 답하자 돌아온 말이었다. 내심 특정 종목을 짚어주기 바라고 던졌던 질문에 종목 대신 펀드에 투자한다고 답했더니 곧바로 ‘수익률 탓’으로 이어진다. 코스피나 코스닥 지수가 하락하면 펀드 수익률도 비슷한 속도로 나빠지는데, 수익률이 플러스로 회복되는 것은 하락하는 속도보다 더디다는 지적도 함께였다.

최근 자산운용 시장이 점점 사모펀드 위주로 기울어진 채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전체 펀드 설정 금액이 2014년 말(377조 원) 대비 174조 원 증가했는데, 이 중 92%의 증가분(160조 원)이 사모펀드로 흘러 들어갔다. 공모펀드에 유입된 자금은 6.9%에 그쳤다. 이렇다 보니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사모펀드와 공모펀드 비중은 2014년 말 4대 6에서, 지난해 말 6대 4로 역전됐다. 공모펀드의 입지가 그만큼 쪼그라들었다는 이야기다.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가 모은 돈을 운용하는 펀드를 말한다. 운용도 투자자 모집도 대중을 상대로 공개적으로 하는 공모펀드와는 시작부터 다르다. 공모펀드가 ‘중산층의 재테크’ 수단으로 손꼽혔던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등 위기 때마다 펀드 수익률이 출렁거리는 사이 공모펀드의 성장도 멈췄다.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입지도 좁아지다 보니 이 펀드를 굴리는 인재들은 ‘머리 좀 컸다’ 싶으면 사모펀드로 이탈했고, 인재 이탈은 수익률 저하로 이어지면서 결국 악순환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이번 정부에 거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모험자본 공급이라는 이유로 사모펀드 규제개편안이 나왔고, 벤처·중소기업 활성화를 이유로 코스닥벤처펀드라는 정책펀드가 출시되는 등 정책적 지원과 개선책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 하지만 정작 ‘국민 자산 증대’라는 자본시장의 기능을 유도하는 대책은 뚜렷하지 않다. 펀드의 손익통산과 이월공제 등의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기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세제 혜택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인이 적은 돈으로도 대기업의 주주가 될 수 있는 것이 펀드다. 그 투자가 개인의 자산 증대와 기업의 자금 조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게 공모펀드다. 정부가 공모펀드의 균형 있는 성장을 팔을 걷어붙여 유도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