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집안산다”…주택구입 의사 2분기 연속 하락

입력 2019-03-26 10:28수정 2019-03-26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명 중 8명 “택시요금 인상해도 품질 개선 없어”

서울시민의 주택 구입 의사가 2분기 연속 하락했다. 10명 중 8명은 택시 요금을 인상해도 서비스 품질 개선은 별 차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연구원은 ‘1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서울시 택시요금 인상’에 대한 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올해 1분기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1.8p 하락한 82.0,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1.9p 하락한 69.5로 조사됐다.

이는 9ㆍ13 부동산 대책 이후 각종 규제 정책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정체되고 집값의 추가 하락을 기대하는 시민들이 주택 구입을 미루면서 매수심리가 꺾인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올해 1분기 93.7로 전 분기 대비 0.7p 하락했다. 올해 ‘소비자태도지수’의 향방은 주로 민생과 직결된 고용지표나 주택구입태도지수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소비자태도지수는 100을 넘으면 경제전망이나 소비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이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0.4p 하락한 87.0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생활형편지수’도 전 분기 대비 0.3p 하락한 90.8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가계소득 감소, 경기불황, 물가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의 이유로 1년 후 가구 생활 형편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민들은 택시 요금 인상 후 서비스 품질에 대해 86.5%가 ‘별 차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고, ‘개선될 것 같다’를 선택한 응답자는 7.5%에 그쳤다.

서울시민이 택시요금 인상 후 희망하는 개선 사항은 ‘승차 거부’가 4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불친절’(29.0%), ‘난폭운전(욕설)’(9.1%) 등의 순이었다.

카풀 앱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서울시민 91.9%가 인지하고 있으며, 카풀 서비스에 대한 이미지는 ‘보통’이 34.2%로 가장 많았고, ‘긍정적’(긍정적과 매우 긍정적, 44.5%) 이라는 응답률이 ‘부정적’(부정적과 매우 부정적, 21.4%)이라는 응답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서울시민의 카풀 제도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보통이다’가 3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필요하다’(41.6%)는 응답이 ‘필요 없다’(22.5%)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