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순조롭다 했더니...테슬라, ‘모델3’ 중국 통관서 급브레이크

입력 2019-03-06 15: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라벨 기준 미흡 이유로 1600대 통관 보류…비관세 장벽으로 인식될 수 있어

▲중국 베이징의 테슬라 매장에서 영업사원이 고객과 대화하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최종 타결로 향하고 있다는 관측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갑자기 미국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의 대중국 수출이 저지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의 세관 격인 해관총서가 차량 라벨이 기준에 미흡했다는 이유로 테슬라의 보급형 세단 1600대 통관을 보류했다고 5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이 보도했다.

이 소식을 최초로 보도한 중국 경제지 차이신에 따르면 해관총서는 테슬라 일부 차량 브레이크오일탱크에 중국어 라벨이 부착돼 있지 않고 일부는 라벨에 표시된 것과 실제 모터 용량이 다르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차이신은 해관총서가 추가 검사를 위해 이미 중국에 있는 테슬라 모델3 판매를 중단하라고 통지했으며 향후 수입하는 테슬라 차량도 엄격하게 검사를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델3 통관 보류 소식에 이날 테슬라 주가는 장중 한때 약 5% 폭락한 끝에 3.1% 하락으로 장을 마쳤다.

테슬라는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이미 중국 해관총서와 문제 해결방안에 합의했다”며 “수입 보류된 차량들에 대한 통관 절차 재개를 위해 해관총서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모델3의 중국 판매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우리는 계속해서 차량을 출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은 테슬라에 매우 중요하다. 테슬라는 미국에서의 수요 둔화, 회사 수익성에 대한 의문 등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중국에서 활로를 찾아야 한다.

웨드부시증권의 대니얼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중국 내 판매에는 확실히 장애물이 존재한다”며 “이번 사태는 중국 성장에 베팅하는 기업들에 존재하는 함정을 다시 상기시켰다”고 지적했다.

중국에도 모델3 통관 보류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중 무역협상이 끝나가는 와중에 중국이 비관세 장벽을 높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될 우려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