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인도시장, 품목별 세분화 전략으로 공략해야"

입력 2019-03-0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한국무역협회)

국내 제품이 인도 시장을 제대로 공략하려면 품목별로 각기 다른 세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5일 발표한 ‘품목별 대인도 수출경쟁력 및 수출애로요인 분석(KIEP 공동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인도 9개 수출품목군에 대한 수출 경쟁력 악화요인을 도출했다.

전자기기는 중국과의 경쟁 심화, 플라스틱은 일·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자동차 및 부품은 인도 정부의 생산 현지화 정책, 철강·유기화학품은 비관세 장벽이 수출 악화요인으로 나타났다.

인도 수출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기계류(43.1%)와 전자기기(47.8%)는 ‘과당경쟁에 의한 수요 감소’, 철강제품은 ‘현지시장 발굴 한계’(38.1%), 자동차 부품·정밀기계는 ‘신규 수출시장 발굴에 따른 인도 투자 저하’(32.0%) 등이 가장 큰 문제로 꼽혔다.

보고서는 이를 바탕으로 △기계 및 전자기기는 경쟁 심화 속 틈새수요 발굴 △플라스틱 및 자동차 부품은 한·인도 CEPA 개선협정을 통한 관세 인하 △철강 및 화학·고무 제품은 비관세 장벽을 낮추기 위한 정부간 협상 등 품목별 맞춤형 진입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금속가공기계, 전동기·발전기, 자동차부품, 합성고무제품 등은 2010~2017년 세계 시장에 비해 인도 수출이 크게 부진해 장벽요인을 해소한다면 수출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의윤 무역연구원 전략시장연구실 연구원은 “글로벌 시장에서는 약진하는 반면 인도 수출이 미진한 품목은 세부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품목별로 구체적인 시장조사와 관세·비관세 장벽 완화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