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후 北 잠재력 높아" 아태기업 10명 중 6명 "북한 비즈니스 고려"

입력 2019-02-25 11: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 아태지역 100여명 기업인 대상 설문조사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기업인들이 한반도의 비핵화 이후 북한의 발전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6명에 가까운 아태지역 기업인이 북한 비즈니스를 고려할 의향까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오는 27일부터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100여명의 기업인을 대상으로 약 1개월간 ‘한반도 안보·경제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7.7%가 금년도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될 경우, 한반도내 긴장국면이 완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응답자의 97.1%는 향후 남북관계 개선은 아태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조사대상 아태지역 기업인은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을 비롯한 APEC 20개 국가 정상이 임명하는 ABAC(APEC기업인자문회의) 전·현직 위원 중에서 선정했으며, 응답자는 35명으로 응답률 35%이다.

북한이 비핵화 이후 본격적인 개혁·개방을 통해 북한 비즈니스 환경을 안정화할 경우, 응답자의 55.9%는 북한 비즈니스를 고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신시장 개척,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47.1%) △저렴한 노동력 활용(17.7%) △SOC 개발 참여(19.6%) △동북아시장 진출(7.8%) △지하자원 개발 참여(7.8%) 등을 꼽았다.

다만 기업인들은 북한 경제의 재건을 위한 최우선적으로 △UN·미국 등 대북 경제재제 해제(28.4%) △중국·베트남 수준 외국인 투자여건 조성(28.4%) △남북러 가스라인 연결 등 동북아 에너지·물류·교통망 구축(27.2%) 등이 과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기업인들은 바람직한 북한 경제의 개혁·개방 모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4.7%가 대규모 국제사회 개발지원 도이모이(Doi Moi) 베트남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엄치성 전경련 상무는 “한국기업, 아태 기업 모두 북한 비핵화 이후 대북 비즈니스에 관심이 많은 만큼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완전 비핵화를 위한 가시적 조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를 기대한다”면서 “그동안 우리 기업의 대북 비즈니스의 걸림돌로 작용한 투자보장시스템 미비, 국내법·북한법·남북합의서 등 3원적 법·제도 적용 등이 근본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우리 정책당국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