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고용지표, 마지막 보릿고개 넘을까

입력 2019-02-11 18: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월만 무난히 넘기면 2월부턴 개선 기대... 추세적으론 반등 어려워

작년 1월 기저효과에 수출 감소도 악재

▲2018년 12월 고용동향.(자료=통계청)
지난해 2월부터 이어진 고용지표 부진이 마지막 고비를 맞고 있다. 현실은 녹록지 않다. 제조업 불황 장기화와 최근 수출 위기로 인해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

통계청은 13일 ‘1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이번 고용동향은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고용 부진의 기저효과가 끝나는 시점이라 의미가 크다. 1월에도 취업자 증감이 증가를 유지한다면, 2월부턴 무난한 증가세가 예상된다. 2017년 20만~30만 명대에서 유지됐던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해 2월 이후 10만 명 내외로 급격하게 축소된 탓이다.

물론 추세상으로 긍정적인 지표를 기대하긴 어렵다.

우선 지난해 1월 취업자 증가 폭은 33만4000명으로 전월 25만7000명보다 7만7000명 확대됐다. 통상 건설공사가 휴지기에 들어가는 1월부터 취업자 증가가 둔화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고용시장 호재라고는 공공부문 단기 일자리 공급이 전부였던 올해 1월에는 큰 폭의 취업자 증가가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7일 “지난해 1월과 비교하는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올 1월 지표도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경제 성장률과 국내 제조업 경기를 지탱했던 수출도 최근 감소로 전환됐다. 전년 동월 대비로 지난해 12월 1.2%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월에도 5.8% 줄었다. 최근 증가세가 꺾인 반도체와 석유화학, 석유제품은 고용 창출력이 낮은 설비산업이라 곧바로 고용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자동차·조선 등 전통적인 주력산업의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점은 뼈아프다.

특히 지금과 같은 제조업 부진이 이어지면 1월은 물론, 2월 이후에도 고용지표 부진이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2014년과 지난해를 비교하면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한 수출은 전부 감소했다”며 “당장은 반도체가 감소했다지만, 전반적인 제조업은 이미 오래전부터 흔들리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력 제조업이 살아나지 않으면 앞으로 고용지표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반도체도 설비 비중이 커 당장은 취업자 감소로 이어지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론 전후방 연관 효과로 인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