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동안 3000만 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가구비율이 전체의 3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는 평균 62.5세 은퇴하는데, 10명 중 6명 꼴로 생활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과 통계청, 한국은행은 20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8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매년 1인 가구나 2인 이상이 혈연과 결혼, 입양 등으로 생계를 함께 하는 가족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5705만 원으로, 전년보다 4.1% 증가했다. 근로소득이 3639만 원(63.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사업소득 1244만 원(21.8%), 재산소득 380만 원(6.7%)이 그 뒤를 이었다.
가구소득 구간별 분포를 보면 1000~3000만 원 미만이 24.5%로 가장 높았다. △3000~5000만 원 미만 22% △5000~7000만 원 미만 15.9% △7000만~1억 원 미만 14.4% △1억 원 이상 13.9% △1000만 원 미만 9.3% 순이었다. 가구주가 상용근로자나 자영업자인 가구는 3000~5000만 원 미만 가구 비율이 각각 22.5%와 27%로 가장 높았다.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1000~3000만 원 미만이 43.8%에 달했다.
가구주 연령대별 소득 증감률을 보면 30대 미만 가구주가 8.0%로 가장 크게 올랐다. 50대는 3.3% 오르는 데 그쳤다. 가구주 직종별로 보면 상용근로자 소득 증가율이 5.5%로 가장 높았고, 자영업자가 2.1%로 가장 낮았다.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주 예상 은퇴 연령은 67.5세였다. 실제 은퇴한 연령은 62.5세로 5년 차이가 났다.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노후 준비가 잘 됐다고 응답한 가구는 9.8%로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전혀 준비하지 않은 가구가 18.1%에 달했다.
가구주 은퇴 이후 생활비 부족에 시달린다고 답한 가구는 59.5%에 달했다. 생활비가 여유있다고 답한 가구는 10.7%에 불과했다. 이 가구들은 공적 수혜금(31.4)과 공적 연금(30.3%) 등으로 생활비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