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0명 중 6명, 은퇴 후 해외에서 살고 싶어"

입력 2018-12-11 09: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호주ㆍ캐나다ㆍ미국 선호…경제활동 그만둔 후 18년 더 살 듯"

(자료=푸르덴셜생명)

한국인 10명 중 6명은 은퇴 후 해외에서 살고 싶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푸르덴셜생명이 최근 서울을 비롯한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취업자ㆍ자영업자ㆍ전업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은퇴 후 생활계획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0.4%가 해외에서 거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거주 의지는 남성(64.1%)이 여성(57%)보다 강했다. 연령별로는 30대(68.8%), 40대(63.7%) 50대(49.5%)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희망 국가는 호주(16.8%)와 캐나다(14.4%), 미국(11.8%), 뉴질랜드(8.8%) 등이었다.

그 이유로는 날씨 등 자연환경 때문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49.2%), 여가 생활(41.4%), 문화ㆍ라이프스타일(32.8%), 의료 복지 시스템(20.8%), 치안ㆍ안전(16.0%)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 생활 시 우려되는 점으로는 언어 등 의사소통의 어려움(49%)이 꼽혔다. 가족과 교류가 줄고, 한국보다 물가가 높은 점, 인종 차별 등도 우려했다.

월 생활비는 300만~400만 원(26.8%) 수준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국에서 노후를 보낼때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월 생활비 200만~300만 원보다 더 많다.

그렇다면 이들은 노후 자금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을까? 국민연금(64.8%)과 퇴직연금(36.8%) 등 제도적 연금에 대한 의존이 높았다. 개인적인 준비로는 은행예금(40.4%), 저축성보험(29.6%), 연금보험(27.8%), 부동산 수입(23.4%) 등에 관심이 높았다.

자산은 달러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응답자 중 84.6%가 달러화를 꼽았으며 유로화(4.6%), 엔화(4.0%) 등이 일부 응답으로 나타났다.

예상 은퇴 나이는 평균 60.9세였으며, 이후에도 일을 더 할 것으로 예상하여 최종 은퇴 예상 나이는 평균 65.2세였다. 예상하는 수명은 평균 83.2세로, 경제활동을 완전히 그만둔 후에도 18년 정도 더 살 것으로 예상했다.

(자료=푸르덴셜생명)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