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흡연·음주가 '낙상 골절' 등 위험 높인다

입력 2018-12-06 13: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건보공단, 노인증후군 위험인자 추적ㆍ분석…운동은 노인증후군 예방효과 뚜렷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흡연·음주가 낙상으로 인한 골절 등 노인증후군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한국 노인의 대표적인 노인증후군(낙상 관련 골절, 섬망, 실금, 욕창)을 주‧부상병으로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 135만961명을 대상으로 노인증후군의 위험인자를 추적‧분석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2015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노인증후군 유병률은 낙상 관련 골절이 3.8%, 섬망은 0.5%, 실금은 1.5%, 욕창은 0.9%였다. 75세 이상 노인은 65~69세 노인과 비교해 낙상 관련 골절은 3.2배, 섬망 1.8배, 실금 1.3배, 욕창 3.6배 위험도가 높았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노인증후군 위험도가 섬망은 2.4배, 실금은 2.4배 높게 나타났다.

노인증후군 위험도에는 비만·흡연·음주 습관이 영향을 미쳤다. 비만은 실금을 1000명당 16.1명 발생시키며 위험도를 1.3배 높였다. 흡연은 낙상 관련 골절 위험도를 1.47배(1000명당 6.4명), 욕창 위험도를 1.35배(1000명당 13.2명) 높였다.

운동은 노인증후군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을 지속적으로 한 노인은 낙상 관련 골절이 20%, 섬망은 17%, 실금은 7%, 욕창은 25% 각각 감소했다.

한편 4가지 주요 노인증후군은 시설 입소 위험과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설입소의 위험은 섬망이 2.18배, 낙상 관련 골절은 1.59배, 실금은 1.43배, 욕창은 2.51배 높았다. 사망 위험도 섬망은 2.13배, 낙상 관련 골절은 1.41배, 실금은 1.09배, 욕창은 3.23배 높았다. 동반된 노인증후군이 많을수록 시설 입소 및 사망 위험은 높아졌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원장원 경희의료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노인증후군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동반질환이나 약물에 대한 관리 및 흡연·음주·운동·비만 같은 건강습관을 개선함으로써 노인증후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며 “이는 결국 노인증후군으로 인한 요양시설 입소 및 사망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