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국감] "전관예우 근절 재판부 재배당 2년간 10% 미만"

입력 2018-10-26 10:44수정 2018-10-26 10: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금태섭 의원실)
전관예우 근절을 위한 재판부 재배당 제도가 각급 법원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활용은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금태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6년 8월 이후 올해 6월까지 전국 법원의 ‘변호인과 연고관계로 인한 재배당’는 총 706건으로 전체 재배당건수 7713건의 9.2%인 것으로 집계됐다.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3개 고등법원의 연고 재배당은 60%로 제도 활용률이 높았지만, 23개소 지방법원은 3%에 불과했다

'법관 등의 사무분담 및 사건배당에 관한 예규'는 사무분담 변경, 착오 등 11개 사유가 있는 경우 재배당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전관예우 근절을 위해 '변호인이 재판부와 개인적인 인연을 맺고 있는 경우 사건을 다른 재판부로 보내는 재배당 제도'는 2015년 8월 서울중앙지법을 시작으로 2016년 8월 서울고법, 2017년 4월 대구고법 등으로 확대됐다.

법원별 연고 재배당 활용비율은 차이가 컸다. 전체 재배당 중 고등법원의 경우 서울고법 61%, 부산고법 40%, 대구고법 35% 순으로 연고 재배당을 활용했으며, 지방법원 중에는 서울지법과 부산지법의 재배당 비율이 높았다.

금 의원은 "변호인 연고 재배당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관예우 등 인적 관계에 따른 변호사 선임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장 많은 재배당이 이루어진 서울고법의 연고 재배당 비율은 2016년 78%, 2017년 58%, 2018년 53%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 의원은 “재배당 제도에 대해 법원별 현실적 한계와 제도 악용 가능성의 우려도 있다”며 “하지만 여전히 연고관계 있는 변호사를 선임하는 등 전관예우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재판의 공정성을 위해 제도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