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까지 유발하는 석회화건염, 석회 상태 따라 치료 방법 달라

입력 2018-10-24 13: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장년층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어깨통증 증상은 단순한 피로나 노화 현상에 따른 증상이라면 움직임을 줄이고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면 대개 통증이 완화된다. 하지만 오십견이나 석회화건염 등 어깨 질환에 의한 통증이라면 방치 시 빠르게 질환이 악화될 수 있고 통증도 극심해 정확한 원인 파악 후 적절한 시기 치료에 나서야 한다.

흔히 중장년층이 어깨 질환은 오십견으로 대표되지만, 최근 오십견만큼 흔한 질환으로 ‘석회화건염이’ 꼽힌다. 석회화건염은 어깨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석회로, 어깨 근육에 섬유화 현상이 생기면 섬유화가 발생한 힘줄에 석회가 침투해 염증을 유발한다. 섬유화 현상은 스트레스, 피로, 노화,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다.

석회화건염의 주요 증상은 어깨통증과 어깨 운동의 제약이다. 통증 부위는 어깨 앞 관절 부위로, 특히 석회가 굳지 않으면 어깨통증이 칼로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으로 매우 심하게 나타나 밤마다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다. 이와 함께 팔을 올려 옷을 입거나 문고리를 돌리는 등의 일상생활에까지 제약이 생기기도 한다. 석회가 굳으면 통증은 덜하지만, 석회가 수분을 만나 팽창하거나 염증이 부풀면 응급 치료가 필요할 만큼 통증이 극심해질 수 있다.

석회화건염 치료 시에는 석회가 굳지 않은 경우, 굳으면 등 석회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진다. 석회가 굳지 않은 초기라면 주사 치료, 프롤로 테라피 등 보존적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석회가 단단하게 굳었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해 굳은 석회를 제거하고 손상된 힘줄을 치료해야 한다.

이에 대해 송은성 연세본병원 원장은 “석회화건염은 최근 중장년층에 흔히 나타나지만,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평소 자세를 바르게 하고 막대 뒤로 들기, 팔 돌리기 등의 스트레칭을 해주는 등 생활습관 관리가 필수”라며 “석회화건염은 특히 급속한 상태 악화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증상 초기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관건”이라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