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키스신 틀어줘… ‘AI 미디어 추천기술’ 연내 상용화

입력 2018-09-27 10: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 SK텔레콤

앞으로 드라마나 영화를 보다가 말 한마디로 키스신, 댄스신 같은 특정 장면을 찾아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27일 을지로 삼화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원하는 장면을 찾아 주는 ‘인공지능(AI) 미디어 추천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연내 상용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신 디스커버리(Scene Discovery)’라고 불리는 장면 검색 기술을 적용해 AI가 영화나 드라마 등 특정 미디어 콘텐츠 속에서 내가 원하는 장면만 골라 보여준다. 시청자는 좋아하는 배우의 등장 장면만 모아서 보거나, 키스신 · 댄스신 · 식사신 등 다양한 상황의 장면을 골라 볼 수 있다.

예컨대 영화 ‘라라랜드’에서 시청자가 주인공의 키스신을 보고 싶다면, “주인공 키스신 보여줘”라고 말하면 된다. 명령어를 들은 AI는 등장인물 중 여자 주인공인 ‘엠마 스톤’과 남자 주인공인 ‘라이언 고슬링’ 얼굴을 인식해 두 인물이 동시에 등장하는 장면을 추출한 뒤 ‘키스하는 상황’으로 판단되는 장면들을 골라내 보여준다. 모바일 환경에서 콘텐츠를 짧게 끊어보는 미디어 소비 트렌드와 세분화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해 만들어낸 기술이다.

SK텔레콤 미디어기술원과 AI 기술 유닛, SK브로드밴드가 함께 개발한 신 디스커버리 기술은 △2500명 이상의 국내외 유명 배우 인물 △키스 · 웨딩 · 댄스 · 식사 · 번지점프 등 50여 개의 상황 △계절 △랜드마크나 놀이공원 등 특수 장소 △배경 음악 등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그램 도입부(인트로)나 결말 이후(엔딩) 구간을 인지해 터치 한번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기능도 개발했다. SK텔레콤은 연내 해당 기술을 ‘B tv’와 ‘옥수수’에 차례로 적용할 계획이다. 더불어 SK텔레콤은 인물 표정에 기반한 감정 인식, 대사 인식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이날 AI가 시청자 취향에 맞는 영화나 드라마를 추천해 주는 ‘콘텐츠 개인화 추천 기술’도 함께 소개했다. 콘텐츠 개인화 추천은 개인 시청 이력에 기반한다. 모든 시청자는 개인 취향에 따라 각자 다른 홈 화면을 제공받는다.

예능 프로그램을 좋아한다고 판단되는 시청자가 특정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했다면, 비슷한 취향의 시청자들이 선택한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이 홈 화면에 뜬다. SK브로드밴드는 14일 시청 이력이 많은 옥수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 기술을 적용했다. 향후 전체 이용자에게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이종민 SK텔레콤 미디어기술원장은 “옥수수에 한 달 동안 업로드되는 영상 콘텐츠가 2만 건이 넘는다”며 “향후 미디어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은 고객들의 다양한 취향 및 시청 패턴을 반영하는 추천 기술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