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폼페이오 방북’ 기습취소… 평양 남북회담 영향 불가피

입력 2018-08-25 13: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계획을 기습적으로 취소하면서 남북정상회담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단 상황들을 파악하고 있다”면서도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브레이크가 걸린 것은 맞지 않는가’라는 물음에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비핵화로 가는 긴 여정에서 벌어지는 우여곡절로 봐야 하지 않겠는가”라며 “미국과 긴밀히 소통해 앞으로의 상황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의 사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 발언이다. 그는 24일(현지시간) 오전 10시 36분께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한반도 비핵화 측면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폼페이오 장관에게 북한에 가지 말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훨씬 더 강경한 교역 입장 때문에 그들(중국)이 예전만큼 비핵화 과정을 돕고 있다고 믿지 않는다”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과의 무역관계가 해결된 후 가까운 미래에 방북하길 고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평양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3차 남북정상회담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결과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추진돼 온 만큼 개최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회담 자체 무산 가능성까지 관측되고 있다.

아울러 남북정상회담뿐만 아니라 종전선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애초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때 북한이 앞으로 폐기할 핵 프로그램 시설의 목록을 제출하고 종전선언과 관련해 미국과 합의한다면 남북정상회담을 거쳐 9월 뉴욕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질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다만,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장관의 미래 방북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 않았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비핵화와 종전선언으로 가는 큰 흐름 자체를 바꿀 만한 변수는 아니라는 데 무게를 싣는 모양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