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글로벌 제약사 레오파마에 4500억 규모 기술수출

입력 2018-08-24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JW중외제약은 24일 서울 서초동 본사에서 레오파마와 혁신적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JW1601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 전재광 JW중외제약 대표(왼쪽)와 킴 퀄러 레오파마 글로벌 R&D본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이 덴마크의 글로벌 제약사 레오파마와 혁신적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JW1601’에 대한 기술수출(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

24일 JW중외제약에 따르면 레오파마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서 JW1601의 독점적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획득하며, 한국에서의 권리는 JW중외제약이 보유한다.

이번 계약은 전임상 단계에 있는 신약후보물질이 막대한 규모의 상업적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JW중외제약은 이번 계약으로 레오파마로부터 확정된 계약금 1700만 달러와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판매 등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최대 3억8500만 달러를 순차적으로 받게 된다. 총 계약규모는 4억200만 달러으로 한화 약 4500억 원 규모다. 또한, 이와 별도로 제품 출시 이후에는 레오파마의 순매출액에 따라 최대 두자릿수 비율의 로열티도 받게 된다.

레오파마는 1908년 덴마크에서 설립된 메디칼 피부질환 치료 시장 1위 기업으로 후시딘, 자미올 등 피부질환 치료제를 다수 개발해 전 세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2016년 아스텔라스제약의 피부과 포트폴리오를 인수한데 이어 최근 바이엘의 피부과 전문의약품 사업부를 인수하는 등 피부과 분야에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JW1601은 JW중외제약이 개발한 혁신신약 후보물질이다. 히스타민 H4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면역세포의 활성과 이동을 차단하고,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갖고 있다. 항염증 효과 위주인 경쟁 개발제품과 달리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가려움증과 염증을 동시에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구제로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복용 편의성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로 평가된다.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허가신청(IND) 수준의 전임상 독성시험과 임상 약물 생산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연내 IND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레오파마의 글로벌 연구·개발(R&D) 책임자 퀄러 박사는 “아토피 피부염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경구 치료제에 대한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가 높은 질환”이라며 “JW1601은 레오파마가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신약과 완벽한 조화를 이뤄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경준 JW중외제약 신약연구센터장은 “이번 계약은 피부과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레오파마에서 JW1601의 가치를 인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양사의 협력을 통해 개발 및 상업화도 성공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 기관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아토피치료제 시장은 2016년 45억7500만달러(5조1000억 원) 규모를 기록했으며, 2024년엔 73억 달러(8조2000억 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