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현대차 완성차 공장 투자협약 또 연기…노동계 반발

입력 2018-08-23 15: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광주광역시와 현대자동차가 추진하는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 협약이 또 미뤄졌다. 노동계의 반발 탓에 8월 중 협약 체결은 사실상 무산됐다.

23일 광주시와 자동차업계 등에 따르면 이번 달 안으로 예정됐던 광주시와 현대차 사이의 투자협약 체결은 기한을 두지 않고 연기됐다.

앞서 민선 6기 후반이었던 지난 6월 투자협약 체결을 예정했다가 연기됐다. 윤장현 전 시장이 임기 막바지에 무리하게 투자협약을 추진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민선 7기 이용섭 시장이 취임한 이후 이 시장 역시 8월 중 협약 체결을 공언했다. 그러나 최근 노동계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협약이 또 미뤄졌다.

광주시가 현대차와의 협약을 통해 새로 설립할 자동차 공장은 연산 10만 대 규모로 경형 SUV를 생산할 예정이다. 자본금 2800억 원, 차입금 4200억 원 등 약 7000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광주시가 자기자본금의 21%인 590억원을, 현대차가 530억원(19%)을 각각 투자한다. 나머지는 투자유치를 통해 조달하기로 했지만 현재까지 정해지지 않았다.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이날 간담회를 통해 "광주형 일자리를 기반으로 하는 완성차 공장 유치 투자협상에 대한 큰 틀의 합의를 8월 내로 이루고자 노력했으나 노사민정 간에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안타깝게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노사민정 정신에 따라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원칙을 가지고 추진해 나가겠다"며 "그동안 시청 간부 중심으로 해왔던 현대차와의 협상에 노동계를 참여시켜 협상단을 꾸리는 방안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노총은 최근 광주시에 공문을 보내 현대차와의 협상 내용을 모두 서면으로 공개하고 협상 과정에 노동계의 참여를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현재 진행하고 있는 광주시와 현대차의 협상을 광주형 일자리가 아닌 '기업 비위 맞추기'라고 단정하고 노사민정협의회를 탈퇴했다.

이 부시장은 "무엇보다 노사 상생의 광주형 일자리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해보는 어려운 일인 데다 민선 6기 말에 업무추진을 서두르다 보니 미숙한 면이 적지 않았다"며 "특히 노동계와 소통이 부족했던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조속한 시일 안에 노사민정 대타협이 이뤄져 광주가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산실이 되고 광주의 경험이 전국적으로 확산해 대한민국 제조업 등 관련 산업이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절실히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