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엘살바도르와 단교로 외교 고립 심화…수교국 17개국으로 줄어

입력 2018-08-21 13: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는 중국과 재정지원 외교전 벌이지 않을 것”

▲카를로서 카스타네다(왼쪽) 엘살바도르 외교장관이 21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과의 수교식에서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수교 선언문을 든 채 악수하고 있다. 엘살바도르가 대만과 단교하면서 대만 수교국은 17개국으로 줄었다. 베이징/로이터연합뉴스
대만이 엘살바도르와 단교하면서 외교적 고립이 더욱 심화하게 됐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대만 외교부는 이날 성명에서 엘살바도르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의 선언과는 별도로 엘살바도르의 살바도르 산체스 세렌 대통령도 전날 TV 전국연설에서 “우리는 대만과 단교하는 대신 중국과 새로운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엘살바도르의 카를로스 카스타네다 외교장관은 이날 베이징에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수교식을 열었다.

이에 대만 수교국은 17개국으로 줄었으며 그중 대부분이 벨리즈와 나우루 등 중미와 태평양 지역의 빈국이다.

중국은 대만 수교국들에 막대한 경제 지원을 약속하면서 대만을 세계무대에서 고립시키고 있다. 올해 초 서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와 중미 도미니카공화국이 대만과 단교했다.

우자오셰 대만 외교장관은 중국이 대만 동맹국들을 막대한 원조와 투자로 유혹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대만 정부는 교육과 농업 또는 인프라 사업 등에서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고려할 의향이 있다”며 “그러나 중국과 외교적 지지를 돈으로 사는 경쟁은 거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재정지원 외교전을 벌이거나 중국과 돈으로 경쟁하는 것, 심지어 불법적인 정치자금을 제공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우리 정부는 그렇게 할 의향이 없으며 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엘살바도르는 지난해부터 항만 개발을 위한 막대한 자금 지원을 요구했다”며 “그러나 우리는 해당 사업을 평가한 후 부적합한 프로젝트를 도울 수 없다는 결론을 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자신의 임기 중 대만을 중국의 통제하에 두려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독립파인 차이잉원이 대만 총통에 오르고 나서 중국의 공세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엘살바도르와의 단교는 차이 총통이 미국을 경유한 중남미 순방을 마치려는 시점에 나왔다. 차이 총통은 전날 “대만은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런 압박은 해외로 나가려는 대만의 결단을 촉진시키기만 할 뿐”이라고 역설했다. 2016년 차이 총통이 취임한 이후 지금까지 엘살바도르를 포함한 5개국이 단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