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수익성 애플 첫 추월에도 웃을 수 없는 이유

입력 2018-08-02 08:42수정 2018-08-02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반도체 편중 심화..스마트폰 성장 정체

반도체 실적을 앞세운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의 수익성을 자랑하는 미국 애플을 영업이익률에서 처음으로 따돌렸다. 다만 삼성전자 이익의 80% 가까이가 반도체 사업에서 나온다는 점에서 최근 스마트폰 실적 부진이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2분기(4∼6월)에 매출 532억6500만 달러, 영업이익 126억 달러를 각각 올렸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영업이익률은 23.7%였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에 매출 58조4800억 원, 영업이익 14조8700억 원을 각각 기록해 영업이익률이 25.4%를 올렸다. 전분기에 0.2%포인트 차이로 바짝 추격한 데 이어 처음으로 역전에 성공했다.

영업이익률은 회사의 운영 효율성과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애플은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가 2016년 6월 집계한 ‘최고의 영업이익률 글로벌 상위 20개 기업’ 리스트에서 금융사를 제외한 제조업체 가운데 1위에 오른 바 있다.

삼성전자는 2016년 하반기까지만 해도 영업이익률이 애플에 10%포인트 이상 뒤처져 있었으나 작년에 격차를 한 자릿수로 줄이더니 결국 올 상반기에는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특히 올해 3분기에도 삼성전자가 리드를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전체로도 역전 달성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애플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로 각각 620억 달러와 158억 달러 안팎을 제시했다. 영업이익률로 보면 25% 정도다. 국내 증권사들이 분석한 3분기 삼성전자 영업이익률 전망치는 26%(매출 65조 원, 영업이익 17조 원) 수준이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애플은 사업구조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서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애플은 스마트폰 사업이 주력인 데 비해 삼성전자는 이익의 80% 가까이가 반도체 사업에서 나온다. 삼성전자의 2분기 모바일 사업부문 영업이익률은 11.1%(매출 24조 원, 영업이익 2조6700억 원)에 그쳐 반도체 사업(52.8%)과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삼성전자는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사수했지만, 최근 출하량 감소와 중국 업체의 추격에 고전하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올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7080만 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해 10.8% 감소한 수치다. 반면 중국 화웨이는 작년 2분기 대비 41% 상승한 542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가장 큰 성장률(107%)을 기록했다. 이 같은 호실적 덕분에 화웨이는 애플을 제치고 출하량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또 삼성전자는 인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2분기 중국 윈플러스에 밀려 2위로 내려앉았다. 지난 1분기 1위를 차지한 삼성의 점유율은 34.4%로 작년 54.3%보다 20%포인트가량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사업에서 기대 이상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지만 실적 쏠림 현상은 불안 요인”이라며 “각각의 사업 부문에서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